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타즈족의 형성 과정 및 문화 혼종성

이용수 16

영문명
Formation Process and Cultural Hybridity of the Taz in the Far East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엄순천(Eom, Sooncheon)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40권 4호, 97~12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03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타즈족은 19세기 초중반 이후 퉁구스족 여성과 한족, 만주족 남성의 혼인으로 출현한 타즈족, 한국인 여성과 한족, 만주족 남성의 혼인으로 출현한 포투이즈족으로 구성된 독립적인 종족이다. 타즈는 중국어 타주(他族)에서 기원하지만 중국인들의 타즈 사용 양상은 시기별로 이민족의 범칭(泛稱), 퉁구스계 특정 종족명, 현대 타즈족의 호칭으로 변화되었다. 중국인들로부터 타즈라는 용어를 차용한 러시아인들의 타즈 사용 양상은 일관성이 없었고 이는 타즈족 연구에 많은 제약이 되면서 타즈족의 기원은 현재까지도 논쟁이 되고 있다. 타즈족의 기원에 관한 러시아 연구자들의 주장은 몽골 타타르족 기원설, 퉁구스족 기원설, 독립 종족설로 나누어지는데 퉁구스족 기원설은 다시 오로치족 기원설, 우데게족 기원설, 나나이족 기원설, 퉁구스계 여러 종족 혼혈설, 퉁구스족기층의 아무르강 하류 여러 종족 혼혈설로 나누어진다. 21세기 이전 러시아 연구자들 사이에는 오로치족 기원설과 우데게족 기원설이 널리 전파되어 있었고 21세기 이후에는 독립 종족설이 정설로 굳어지고 있다. 주거문화에서 구조물의 맞배지붕, 정방형의 우물은 퉁구스족, 타즈족, 한반족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사냥 덫 투이~투대는 극동 남부~한반도 북부에 전파되어 있는데 이는 극동남부 지역~한반도 사이에 문화 교류가 있었음을 말해준다. 타즈족은 중국인의 영향으로 퉁구스족과 달리 씨족명 대신 성(姓)을 사용하였는데 복성이 90%이며 모든 음절들이 의미소로 작용하고 나나이족 기원의 성이 17개로 전체의 56.6%를 차지하는데 이는 타즈족의 기층이 나나이족임을 말해준다.

영문 초록

The taz are independent race an composed of taz and fotuiz. After the early and mid-19th century, the taz appeared from the marriage of a tungus women, a han chinese, and a manchu men, and the fortuiz emerged from the marriage of a korean women, a han chinese, and manchu men. The claims of russian researchers on the origin of the taz are divided into the theory of the origin of the mongol tatars, the theory of the origin of the tungus, and the theory of independent racial origin. The tungus origin theory is further divided into the orochi origin theory, the udege origin theory, the nanaj origin theory, the tungus mixed race theory, and the tungus-based nivh mixed theory.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the taz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udege, nanaj, and orochi, living in the sam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as the adjacent udege, nanaj, and orochi. In the residential culture, the gable roof of the structure, the square well, and the hunting trap tui~tudae are spread in the southern far east and the korean peninsula, indicating that there was a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ribes in this area. Unlike the tungus, the taz used their surnames instead of their clan nam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There are 17 surnames of nanaj origin, accounting for 56.6% of the total, indicating that the nanaj make up the base of the taz.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타즈족의 기원에 관한 및 중국인의 타즈 사용양상
III. 타즈족의 형성 과정 및 문화 혼종과 융합
IV.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순천(Eom, Sooncheon). (2021).타즈족의 형성 과정 및 문화 혼종성.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0 (4), 97-125

MLA

엄순천(Eom, Sooncheon). "타즈족의 형성 과정 및 문화 혼종성."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0.4(2021): 97-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