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70년대 최인호 소설에 나타난 물신주의적 믿음의 양상

이용수 98

영문명
Aspects of Fetishism in Choi In-ho s Novel in the 1970s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용석원(Yong, Seok Won)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7호, 57~8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70년대 대중문학을 대표하는 최인호 소설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환상을 분석함으로써 당대 대타자의 욕망-결여의 자리를 메우는 동시에, 당시 그의 소설에 매혹되었던 대중의 심적 구조를 구조화한 초자아적 대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슬라보예 지젝의 이데올로기적 환상이론을 통해 1970년대 한국사회를 살펴본다면, 대타자의 붕괴 양상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단적인 사례가 유신체제와 같은 독재의 존재이다. 1960년대 유행어인 ‘선의의 독재’가 방증하듯이, 당대 주체는 예외적인 권력에 대한 자연스러움이라는 ‘전이적 환영’에 사로잡혀 있었다. 이는 증상의 보편화로 이어졌다. 1970년대 최인호의 소설이 장면화하고 있는 사회적 현실은 대타자의 상징화 작업과 그 효력이 중단된 상태, 즉 구조적 결여가 드러난 지점을 겨냥하고 있다. 최인호 소설의 바탕에는 대타자에 대한 냉소주의적 태도와 상징적 질서의 불충분성을 메우는 초자아적 대상으로서의 ‘청년’이 자리하고 있다. 이는 최인호가 소설에서 현실정치 혹은 이념갈등을 다룰 때 잘 나타난다. 그는 이데올로그의 전이적 환영을 재현하는 방식을 통해 이데올로기적 의미의 불충분성과 비합리성을 폭로하는 한편, 그 의미론적 공백을 메우는 초자아적 대상의 출현을 통해 이데올로기적 보편성을 직접적으로 누비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최인호는 사회적 현실에 대한 모든 이해가 상상계적인 오인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전복의 효과는 주체로 하여금 진지하게 다루어져야 할 만한 현실에 대한 문제인식이 한없이 가벼운 것으로 전환되는 경험을 가져다준다. 이렇게 주체에게 이데올로기적 의미의 보편성이 더 이상 심각하게 받아들여질 필요가 없게 됨에 따라 ‘냉소주의적 주체’가 출현할 수 있는 조건이 완성된 것이다. 최인호는 「무서운 복수」에서 대타자의 결여, 혹은 ‘민중’과 같이 기성의 권력화한 사물을 대체할 만한 초자아적 대상으로서의 ‘청년’을 발견하고, 그것의 응시 속에서 자신이 욕망할 만한 타자의 욕망을 가시화시킨다. 이는 ‘청년’이 지니는 대상a의 성격인 ‘명랑성’, ‘자기 욕망의 투명성과 지향성’, ‘젊음의 무한한 가능성’ 등과 연결되어 있다. 최인호의 ‘청년문화운동’은 ‘청년’에 대한 도착증적 주체가 자신의 욕망을 공론화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당시 청년문화는 당대 대중문화에서 간과된 세부로서 존재하며, 초자아의 외설적인 명령인 ‘청춘을 즐겨라!’에 의해서 구조화되어 있다. 이는 타자의 욕망인 동시에, 주체에 대한 대타자의 응시 혹은 상징적 질서의 불충분성에 대한 주체의 방어적 욕망이다. 따라서 당대 주체에게 주어질 수 있는 향락과 쾌락의 범주는 유신체제라는 대타자의 구조적 불균형을 초과할 수 없다. ‘청년’이란 초자아적 대상은 대타자의 욕망-결여의 자리를 메우는 우연한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에 주체는 현재까지 향유되고 있는 ‘청년’의 향락을 보존하기 위해 개발독재와 민중‧민주주의와 같은 거대담론이 용인될 수 있는 정당성과 내적 동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바로 그러한 체재가 자연스럽고 자생적인 것이라는 전이적 환영에 다시금 사로잡히게 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deological fantasies that appeared in Choi Inho s novels representing popular literature in the 1970s. This article fills the place of the desire-lack of the great other in his day, and examines the psychology of the reader who read his novel as a superego object. If we look at Korean society in the 1970s through Slavoe Žižek s ideological fantasy theory, we can see the patterns of the collapse of the Great Other. A prime example is the dictatorship such as the Yushin regime. In the 1960s, the buzzword “goodwill dictatorship” proved that the subject of the day was obsessed with the “transitional illusion” of the naturalness of exceptional power. This led to the generalization of symptoms. The social reality that Choi In-ho s novels in the 1970s made into scenes is the cessation of the symbolization work and symbolization of the great other. In other words, it aims at the point where structural deficiencies are revealed. In Choi In-ho s novel, the “young man” is positioned as a super-ego that fills in the insufficiency of the symbolic order and cynicism toward the other. In Choi In-ho s novel, real politics or ideological conflict appears. He exposes the insufficiency and irrationality of the ideological meaning through the method of reproducing the transferable illusion of ideology. And it directly expresses the ideological universality through the emergence of superego objects. In this way, Choi In-ho shows that his understanding of social reality is nothing more than an imaginary misconception. This effect eliminates the reader s perception of problems with reality that must be taken seriously. In this way, the novel does not need to be taken seriously by the reader, and a cynicist subject is created. In “Scary Revenge”, Choi In-ho discovers the “young man” as a super-ego that can replace the established power like “the people”, and visualizes the desire of the other, which he deserves. This is connected with the brightness of young people , transparency and orientation of selfdesire , and infinite possibility of youth . Choi In-ho s “Youth Cultural Movement” is connected with the subject of arrival at youth to publicize their desires. At that time, youth culture exists as a detail that was overlooked in popular culture, and is structured by the obscene command of the superego, “Enjoy youth!”. This is the subject s gaze at the subject or the subject’s defensive desire for the insufficiency of the symbolic order. Therefore, the range of enjoyment and pleasure that can be given to the subject of the day cannot exceed the structural imbalance of the great other called the Yushin system. This is because the superego object of “youth” is an accidental object that fills the place of the desire-lack of the other. In order to preserve the enjoyment of the “youth” that has been enjoyed to this day, the Juche tolerates large discourses such as development dictatorship and popular and democracy. And it is again captured by the transitional illusion that this format is natural and spontaneous.

목차

1. 1970년대 한국 사회의 상징적 구조의 변형
2. ‘냉소주의적 주체’로서의 대중소설 작가의 등장
3. 실재적 대상으로서의 ‘청년’의 성격
4. ‘청년’의 초자아적 기능과 그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용석원(Yong, Seok Won). (2021).1970년대 최인호 소설에 나타난 물신주의적 믿음의 양상. 지식과 교양, (7), 57-87

MLA

용석원(Yong, Seok Won). "1970년대 최인호 소설에 나타난 물신주의적 믿음의 양상." 지식과 교양, .7(2021): 57-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