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바일 학습의 항해지원 유형과 인지부하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용수 11

영문명
The Relationship Study for Navigation Types and Cognitive Load in the Mobile Learning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박형성(Park, Hyung sung) 박정은(Park, Jeong Eun)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27권 제3호, 49~6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7.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학습에서 항해지원 유형과 인지부하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지부하를 줄일 수 있는 항해지원 유형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첫째, 모바일 학습에서 항해지원 유형 중 항해 바 유형을 적용한 콘텐츠를 학습한 집단이 풀다운 유형을 적용한 집단보다 작동기억에서 모두 인지부하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학습 콘텐츠에서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이 낮은 학습자들에 비해 작동기억 유형에서 인지부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학습에서 항해지원 유형과 사전지식 수준이 학습자의 인지부하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항해 바 유형의 콘텐츠를 학습할 때 인지부하가 낮아 학습효과가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사전지식 수준이 높으면 인지부하 수준이 낮고 사전지식 수준이 낮으면 인지부하 수준이 높은 현상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bile learning produced by using two most widely utilized navigation types including pulldown and navigation bar imposed a significantly different cognitive load on learners in terms of working memory, and to determine which navigation type could ease the cognitive load bette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s that studied with contents produced by using the navigation bar type underwent less cognitive load in terms of all the three working memories than the others that did with contents produced by employing the pulldown type. In the contents of the pulldown type,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menu disappeared soon after the students chose it, but the contents of the navigation bar type that let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menu stay on the screen seemed to make it easier for them to find what they looked for. Second, the learners who had a better prior knowledge were subjected to less cognitive load in terms of every working memory than the others who hadn t. The former performed the given tasks better since their relatively exact knowledge of what to learn allowed them to be free from cognitive load when the secondary working-memory task was given. In contrast, the latter who didn t know well about what to learn didn t perform the given tasks well. Third,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navigation type of the mobile learning and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that affected the cognitive load of the learners. The contents of the navigation bar type imposed less cognitive load on the learners regardless of prior knowledge, and eventually served to boost their learning efficiency. Therefore a higher level of prior knowledge led to less cognitive load, and a lower level of prior knowledge was followed by more cognitive loa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형성(Park, Hyung sung),박정은(Park, Jeong Eun). (2011).모바일 학습의 항해지원 유형과 인지부하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교원교육, 27 (3), 49-69

MLA

박형성(Park, Hyung sung),박정은(Park, Jeong Eun). "모바일 학습의 항해지원 유형과 인지부하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교원교육, 27.3(2011): 49-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