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초임교사의 첫 학기

이용수 39

영문명
Experiences of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First Semester: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munity of Practice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안태연(Ahn, Tae youn) 임수연(Yim, Su Yon)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5권 제4호, 217~23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육 대학을 졸업하고 초등학교에서 첫 근무를 시작한 초임교사들이 학교라는실천공동체에서 어떻게 참여활동을 하며 사회적 학습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 명의 초임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총 3개월간 세 번의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 자료는 소속감의 세측면인 참여(engagement), 상상(imagination), 연대(alignment)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초임교사들은 동료 교사들과의 의미 협상 과정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없음이 나타났다. 이는 개인적인성향에 기인한다기보다 초임교사에게 수동성을 기대하는 학교문화와 연관이 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예비 교사 시절 구축했던 이상적인 교사의 이미지가 동료 교사나 학교 행정가가 추구하는 교사의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때, 초임교사들은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초임교사들은 학교라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기대에 부응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지만, 학교의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의미 있는 피드백을 받지 못해 그 협상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파악되었다. 초임교사의 첫 학기의 경험은 이렇듯 제한적인 참여와 연대의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제도적인 문제에 기인하기보다는 일방적인 의사소통의 교직 문화속에서 구성원간의 피드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폐쇄적인 초등학교의 학교문화 때문으로 보인다. 초임교사의 사회적 학습을원활히 하기 위해서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초등학교 문화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learning experience of beginning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Four beginning teachers from four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times with each participant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ir teaching. Interview data was analyzed using Wenger’s (2000) three modes of belonging as ananalytical framework: engagement, imagination, and alignment.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beginning teachers, as newcomers in their schools, are situated in limited engagement with old-timers. Beginning teachers imaginative view of an ideal elementary school teacher did not sometimes match with the images constructed by old-timers, such as school administrators or other teachers. Moreover, beginning teachers had few opportunities for alignment because of a lack of feedback from old-timers. As such, the first-semester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appeared to be shaped by school culture rather than by a lack of institutional systems. Implications are discussed to facilitate the social learning of beginning teacher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태연(Ahn, Tae youn),임수연(Yim, Su Yon). (2019).초등 초임교사의 첫 학기. 교원교육, 35 (4), 217-238

MLA

안태연(Ahn, Tae youn),임수연(Yim, Su Yon). "초등 초임교사의 첫 학기." 교원교육, 35.4(2019): 217-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