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ffect of Green Tea Seed Extract on the Skin Whitening Activity

이용수 49

영문명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이명자(Lee Myung-ja) 최두복(Dubok Choi) 이희경(Lee Hee-kyung)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53집, 77~10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웅포지역 녹차씨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백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L-DOPA 자가산화 저해 활성, 멜라닌 생성 저해 및 UV 조사 후 세포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Tyrosinase와 L-DOPA auto-oxidation 억제 활성, 멜라닌 생성 억제 및 세포 생존율은 추출 농도가 300 µg/mL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했다. 에탄올 추출물 300 µg/mL을 사용한 B16 세포에서 tyrosinase의 억제 활성은 65.2%로 열수 추출물에 비해 약 15.2% 증가하였고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과는 거의 유사하였다. L-DOPA 자가산화 억제 활성의 경우 열수추출물 사용 시 300 µg/mL에서 40.3%를 나타내었다. 반면,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300 µg/mL에서 49.2%였다. 이러한 결과는 추출물에 의한 L-DOPA의 자가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열수추출물 300 µg/mL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40.3%였다. 반면,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300 µg/mL에서 49.2%였다. 이 결과는 세포에서 tyrosinase 저해 활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에탄올 또는 열수추출물이 300 µg/mL일때 멜라닌 생성은 α-MSH 양성대조군에 비해 약 43% 감소하였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생존율은 300μg/mL의 열수추출물에서 83.2%였다. 반면,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86.7%였다. 이 결과를 통해 에탄올 추출물이 UVB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해보면 익산 웅포지역 녹차씨 추출물은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치를 기대해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L-DOPA auto-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melanogenesis inhibition, and cell viability after UV irradiation for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using green tea seed extract. Tyrosinase and L-DOPA auto-oxidation inhibitory activities, melanogenesis inhibition, and cell viability showed a dose-dependent increase.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in B16 melanoma cells using 300 µg/mL of ethanol extract was similar to Arbutin as positive control. In the case of the L-DOPA auto-oxidation inhibitory activity, when using hot water extract, it showed 40.3% at 300 µg/mL. On the other hand, with the ethanol extract, it was 49.2% at 300 µg/mL. The melanogenesis inhibition was 40.3% at 300 µg/mL of hot water extract. On the other hand, with the ethanol extract, it was 49.2% at 300 µg/mL. The melanogenesis was about 43% decrease compared to positive control group with α-MSH. The human skin fibroblasts viability was 83.2% at 300 µg/mL of hot water extract. On the other hand, with the ethanol extract, it was 86.7%. These results made it possible to expect the application value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with whitening effect that can be industrialized by extract of green tea seed using Iksan Ungpo Reg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RESULTS AND DISCUSSION
Ⅳ.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자(Lee Myung-ja),최두복(Dubok Choi),이희경(Lee Hee-kyung). (2021).Effect of Green Tea Seed Extract on the Skin Whitening Activity. 차문화산업학, 53 , 77-100

MLA

이명자(Lee Myung-ja),최두복(Dubok Choi),이희경(Lee Hee-kyung). "Effect of Green Tea Seed Extract on the Skin Whitening Activity." 차문화산업학, 53.(2021): 77-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