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커룹 형상의 제의적 상징성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이용수 23

영문명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김영선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No.84, 165~20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팬데믹 현상에 수반된 교회의 신앙실천 환경의 변화 앞에서 오늘의 현실에 적절한 제의적 상징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고대 이스라엘의 제의적 상징들의 변화에 주목한다. 특히 예루살렘 성전의 중심적인 제의 상징이었던 커룹 형상이 사회역사적인 변화와 더불어 그 제의적 상징성의 영향력이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를 살펴본다. 예루살렘 성전의 지성소에 도입되었던 커룹 형상은 그보다 더 오래된 제의 상징인 궤를 대신하게 되었으나 궤를 대체하였다기보다는 궤와 통합되었으며, 커룹 위에 좌정하신 하느님은 야훼의 옛 호칭인 ‘만군의 야훼’와 결합됨으로써 그 정당성을 확보하였다. 커룹 형상은 그 자체로 하느님을 상징하는 형상이 아니라 하느님의 현존을 나타내는 환유적인 상징이며, 야훼의 발판인 금송아지 상을 중심적인 제의 상징으로 옹호하였던 북이스라엘의 멸망 이후에 국가의 중심적인 제의적 상징으로써 히즈키야와 요시야의 반형상주의적 종교 개혁의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아시리아 제국의 지속적인 위협은 왕권의 약화와 더불어 시온의 안전을 보장할 새로운 신학을 요구하게 되었고, 시온이 야훼의 거처와 옥좌로 여겨지게 됨으로써 커룹 형상의 상징적 영향력은 점차로 약화되었다. 커룹 형상은 결국 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해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면서 제의적 상징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커룹 형상과 관련된 고대 이스라엘의 종교사에 대한 이 고찰은 상징이 가진 힘은 변화되기 쉽고, 상징이 가진 힘의 변화는 사회역사적인 현실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커룹 형상의 제의적 상징력의 변화 과정에 대한 고찰이 보여주듯이 제의 상징의 변화는 이전의 상징을 철저하게 배제하는 방향으로 전개된 것이 아니라 이전의 제의 상징과의 통합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고, 그 결과 상징성은 더욱 풍부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영문 초록

The pandemics of the Corona-19 virus have developed foreign and bewildering circumstances in relation to Church’s practice of faith. Such a reality challenges us to pose a question of what the proper cultic symbol would be which effectively communicates the divine presence. To face this challenge,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ritual symbols of Ancient Israel. A particular attention will be given to the statues of cherubim, the central cultic symbol of the Temple of Jerusalem in the monarchic period. I will examine the changes of their influential power as the central cultic symbol in accordance with socio-historical changes in the given society. The statues of cherubim, put in the holy of holies of the Temple, took up the role of the Ark, the older cultic symbol of Ancient Israel. But the cherubim were integrated with the Ark rather than replacing it. Furthermore, the new symbol, representing God who was seated on the cherubim, was legitimated by combining it with Yahweh’s old title, “Yahweh of the hosts.” The cherub figure is not a statue of God in itself, but a metonymic symbol representing God’s indwelling there. Following the fall of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which instituted the gold calf statues, the platform of Yahweh, as a central cultic symbol, the aniconic feature of the statues of cherubim became the theological background for aniconic religious reformations during the reigns of Hezekiah and Josiah. By the way, the constant threats of the Assyrian empire debilitated the royal authority and also called for a new theology to ensure the security of Zion. As a result, Zion was regarded as Yahweh’s residence and throne. This situation made the symbolic influence of the cherubim gradually weakened. The cherub figure eventually lost its symbolic power after the Jerusalem temple was destroyed by the Babylonian empire. This consideration of the religious history of Ancient Israel related to the statues of cherubim illustrates the fact that the influential power of a cultic symbol is susceptible to change and that the shifts of cultic symbols are interrelated to the socio-historical realities. As this study shows, however, the shifts of cultic symbols were not made to completely replace the previous symbol, but to promote integration with it, resulting in a richer symbolism.

목차

서 론
1. 커룹 형상의 초기 단계
2. 예루살렘 성전의 중심적인 제의 상징인 커룹 형상
3. 커룹 형상의 제의적 영향력의 약화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선. (2021).커룹 형상의 제의적 상징성의 변화에 대한 고찰.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84), 165-204

MLA

김영선. "커룹 형상의 제의적 상징성의 변화에 대한 고찰."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84(2021): 165-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