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초기 기독교 여성과 기독교적 여성교육

이용수 22

영문명
Christian Women and Women s Educati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김현숙(Hyun Sook Kim)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59집, 17~5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 초기 기독교와 기독교교육은 조선 여성들에게 다양한 삶의 기회를 제공하였고, 문명화를 통한 사회 변화를 주도하였으며, 민족적·시대적 과제에 직면해서 적극적인 개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근 여성 참여의 폭과 비율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한국 교회의 상황은 시대적 흐름에 반하는 답답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근대 초기의 기독교 여성들이 한국 교회와 선교여학교의 현장 속에서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기독교적 여성교육의 주역이 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여성 선교사와 교육받은 여성, 교육받은 여성을 뒷받침하며 후원한 어머니, 여성 선교사와 전도부인의 모습은 단순한 교사와 학생, 딸과 어머니, 선교사와 조사라는 관계를 넘어서 동역자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이 협력적 관계는 기독교 여성교육의 시작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문맹인 여성들에게 한글을 가르쳐가며, 동시에 신앙을 전수했던 전도부인의 모습은 여성적·협력적 연대의 가장 좋은 예이며, 여성선교사와 선배 그리고 후배가 함께 의지하며 생활뿐 아니라 신앙을 공유했던 선교여학교의 교육은 단순한 교사와 학생, 선배와 후배의 관계를 넘어서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협력적 연대의 교육모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근대 초기 기독교적 여성교육에 관한 연구를 통해, 먼저 간과되었던 여성의 다양한 문제와 삶의 경험을 교육내용으로 포함하며, 여성뿐 아니라 경계에 있는 모든 사람, 즉 소외된 사람들의 경험까지도 포함하는 기독교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Christianity and Christian education have in the past provided Korean women with opportunities for a new life, promoted social reform by way of modernization, and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social transformation when facing national crises. Today’s Korean churches, however, do not adequately address contemporary situations in which women ar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Korean society.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attempts to show how Christian women, especially educated women, mothers of educated women, Bible women, and women missionaries, played active and cooperative roles in women s education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1885-1920). Their collegial relationships formed a solidarity between women missionaries and educated women, between mothers who supported daughters for their education and educated women, and between women missionaries and Bible women. This solidarity was built by moving beyond traditional hierarchic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and between missionaries and helpers. One historical example is that of the Bible women who taught illiterate women how to read and write the Korean language while they evangelized them. Another is that of education at the girl s academy where women missionaries, senior and junior students lived together and shared faith. These collegial relationships and solidarity made an important impact on Christian women s educati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and can provide us with a good educational model in which women today may be encouraged and challenged to achieve their own identity in close relation to other Christian women. This study of early modern Christian women and Christian women’s education can impact Christian education today. Christian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needs to include women s experiences as educational content and to embrace diverse experiences of marginalized people. Christian education also needs to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re encouraged to become better Koreans and better Christians, based on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rather than on competing for succes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근대 초기의 기독교와 여성들
III. 기독교 여성교육의 시작과 발전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숙(Hyun Sook Kim). (2019).근대 초기 기독교 여성과 기독교적 여성교육. 기독교교육 논총, 59 , 17-58

MLA

김현숙(Hyun Sook Kim). "근대 초기 기독교 여성과 기독교적 여성교육." 기독교교육 논총, 59.(2019): 1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