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교교육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

영문명
Communication Models in Religious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전영미(Young Mi Jeon)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21집, 365~38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활동 중의 하나이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에서 볼 때 종교교육도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종교교육이란 교사와 학생 간에 종교교육적인 내용을 의사소통하는 과정이다. 종교교육의 내용들을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인가,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해낼 것인가와 관련된 문제들은 모두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적인 관심사들이다. 이런 면에서 종교교육과 커뮤니케이션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종교교육에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는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특성과 종교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선택하고 개발하는 일은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종교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전통적 종교교육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분석하였다. 전통적 종교교육에서의 지배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전수모델(transmission model)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수모델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함께 종교교육 분야에서 이에 대한 대안적 커뮤니케이션 모델들을 제시한 세 가지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제임스 마이클 리의 종교교수 모델과 로날드 사르노의 총제적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피에르 바뱅이 제안한 일체 모델은 공통적으로 전통적 종교교육에서의 의사소통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보다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 다양한 교육 방법과 매체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필자는 종교교육의 네 가지 주요 요소인 학습자, 교사, 교육내용, 교육환경의 네 가지 측면에서 현대사회의 특성과 종교교육의 본질적 특성에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모델은 어떤 것인지 그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religiou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and to explore alternative communication models for religious education in a global age. Religious education can be understood as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Conveying religious messages effectively and facilitating productiv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re essential in religious education and are inseparably related to the issues of communication. Thus analyses of communication models used in religious education will provide useful insights for religious educators in improving their teaching process,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More specifically, I first analyze a communication model used in traditional religious education, which is identified as the transmission model in communication. The transmission model is characterized by its one-way linear communication structure. It entails hierarchical and authorit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he learner in this model is typically regarded as a passive receiver of the message delivered by the teacher. Religious education based on this transmission model tends to lack concerns for learners’ status,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James Michael Lee, Ronald Sarno, and Pierre Babin suggest alternative communication models of religious education. The present paper also reviews each of these alternative models, and suggests some directions for religious educators in selecting and creating communication models which are relevant and appropriate for contemporary learners and their global environment.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전통적 종교교육의 커뮤니케이션 모델 분석
Ⅲ. 종교교육에서의 대안적 커뮤니케이션 모델 연구
Ⅳ. 현대 사회에서의 종교교육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위한 제언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미(Young Mi Jeon). (2009).종교교육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 논총, 21 , 365-388

MLA

전영미(Young Mi Jeon). "종교교육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 논총, 21.(2009): 365-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