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에서의 기독교교육의 역사와 과제

이용수 51

영문명
History and Task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강용원(Yong-Won, Kang)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10집,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에서의 기독교교육의 역사를 5기로 나누어 분석하면서 그 미래적 과제를 도출하여 보았다. 제1기 형성기(1884-1922)에 한국의 기독교교육은 기독교 학교에서의 교육과 교회교육이라는 두 가지 축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제2기 성장기(1922-1938)는 기독교 학교교육이 크게 위축을 받는 대신에 주일학교가 크게 성장한 시기였다. 제3기 정체기(1938-1960)에는 기독교교육이 전반적으로 정체현상을 보였다. 제4기 정비기(1960-1980)는 기독교교육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들이 대학과 학자들을 통해서 나타났으며, 교단별로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제5기 전환기(1980-현재)에는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반성과 방향모색을 다양하게 시도하게 된다. 역사적 분석을 통해서 몇 가지의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첫째, 일반교육의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기독교교육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청된다. 둘째, 기독교교육의 많은 문제들은 교회가 세속적 가치관과의 대결에서 신앙을 양보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오는 것으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요청된다. 셋째, 교회교육 중심성을 탈피하여 기독교교육이 일어나는 전 회중을 포괄하는 교회교육으로 회복되어야 하며, 교육목회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I divided the 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into 5 periods.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s and derived the future agenda of Christian education from it. The first period is the period of Formation(1884-1922). The Christian education of Korea in this period was formed by two poles. They were the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and the church education. Originally, the church education began as classes for adult bible study, and later the children s Sunday school was added to it. The second period is the period of Growth(1922-1938). The Sunday school was greatly developed in this period while the education in Christian schools was seriously sluggish. As a result of the emphasis on Sunday school, the focus of object in church education was shifted from adults to children. The third period is the period of Stagnation(1938-1960). In this period, a stagnant atmosphere pervaded in overall Christian education. The fourth period is the period of Reorganization(1960-1980). The potentiality of studies in Christian education was revealed through universities and scholars, and new attempts were made by the denominations. The fifth period is the period of Transition(1980-present). Reflections and efforts to find a new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were attempted in many ways in this period. Several agenda have been derived from the above historical descriptions and analysis. First, Christian education should actively confront general education as an alternative. Second, since many problems of Christian education hav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church has yielded the faith to the secular values, a way to cope with that situation properly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church-centered education and focus on balanced growth;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various contexts where the Christian education occurs. Fourth,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renewed including all the congregations of the church, and the positive acceptance of “educational pastoral ministry” is needed. Finally, the Christian schools should be supported and self-examination of schools 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분석
Ⅲ. 기독교교육의 현실과 미래적 전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용원(Yong-Won, Kang). (2004).한국에서의 기독교교육의 역사와 과제. 기독교교육 논총, 10 , 1-25

MLA

강용원(Yong-Won, Kang). "한국에서의 기독교교육의 역사와 과제." 기독교교육 논총, 10.(2004):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