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움집에 설치된 온돌의 조사법 일사례

이용수 48

영문명
Ondol Structure in dugout hut in the Joseon Period and its Investigation Method-Centering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이경복(Lee, Kyeong-bok)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18집, 167~19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움집이 이전시대의 움집과 다른 점은 온돌이 있다는 것이다. 구들로 불리기도 하는 온돌은 바닥 아래로 열기가 지나가는 고래를 놓고 그 위에 구를장을 놓아 바닥을 덥히는 난방시스템으로, 난방기능이 매우 뛰어났다. 이러한 온돌이 움집 내에 도입되면서 이전과 달리 조선시대 움집은 겨울철을 보내기 위한 효과적인 주거 형태로 변화하였다. 조선시대 움집의 평면 형태는 방형계열과 원형계열이 있으나 당진 읍내리 유적과 화성 구문천리 유적에서 확인된 것은 방형계열 뿐이다. 내부시설로 온돌이 있는데, 온돌은 재래식 가옥의 온돌과 마찬가지로 아궁이, 고래와 구들장 굴뚝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온돌에 시설된 아궁이는 모두 함실아궁이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부넘기는 아궁이가 고래보다 깊게 굴착되어 아궁이에서 고래로 연결되는 단면이 수직으로 만들어졌다. 다음으로 고래와 구들장을 살펴보면, 이 두 유적에서 확인되는 고래형태는 줄 고래, 부채고래, 사선고래, 허튼고래이다. 이 중 허튼고래는 화성 구문천리 8호에서만 확인되는데, 다른 움집고래는 흙을 파서 만든 것인데 비해 이 고래는 석재를 세워서 만든 것이 차이점이다. 그리고 고래를 만들기 이전에 고래바닥을 만드는데, 이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 고래기울기이다. 움집에서 확인되는 움질의 기울기는 5∼10° 이하로 재래식가옥의 평균 고래기울기보다 낮다. 이러한 이유는 움집의 면적이 작아서 고래기울기가 낮아도 난방에 효율적이었기 때문이다. 구들장은 두 유적 모두 고래둑 위에 할석을 이용히였는데, 고래가 지나가는 곳은 넓은 할석을 깔고 그 외 지역은 작은 할석으로 새침하였다. 굴뚝은 상부시설이 훼손되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속이 빈 썩은 나무나 원통형 나무를 이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움집의 굴뚝바닥은 고래면 보다 낮게 굴광하여 개자리 효과를 가져왔다. 조사방법은 기존의 수혈주거지 조사순서와 다르지 않지만, 이전시대 수혈주거지에서는 고래와 구들장이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래와 구들장 조사시 신중을 기하면서 조사를 하여야 한다. 조사시 고래기울기, 구들장의 유무, 그리고 구들장 위에 토층조사를 통한 초벌·중벌바르기의 유무, 고래 청소시설 문제 등을 자세히 살펴야 한다. 더불어 온돌공간 이외에 생활공간의 기능, 출입구 시설유무, 출토유물이 움집과 관련된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히다.

영문 초록

This writing is the research result of the ondol structure of a dugout hut in the Joseon period and its investigation method centering on the relics of Eupnae-ri, Dangjin and Gumuncheon-ri, Hwaseong. A dugout hut in the Joseon period has square-type series and round-type series in its plane form, but this study certified only square-type ones from two sites. There is an ondol[underground heating system] in its interior facility, and an ondol consists of a fuel hole, a raised kitchen fire entrance to an ondol flue, pieces of flat stone for flooring a room over a hypocaust, trefoil, and chimney, etc.Taking a look at a hypocaust and flat stone for flooring a room over a hypocaust first, the hypocaust pattern from the two sites is line-type hypocaust, a folding fan type hypocaust, an oblique type hypocaust and scattered stone-supported hypocaust. The scattered stonesupported hypocaust is certified only at the 8th unit in relics of Hwaseong Gumuncheon-ri, which was made by erecting stone while the other hypocausts of a dugout hut were made by digging up earth. They used to make the bottom for hypocausts before making hypocausts and the most important point to consider is a slope for a hypocaust. The slant certified in a dugout hut is usually below 5 , which is lower than the average hypocaust slope of traditional housing. It seems because the low slope of a hypocaust didn t have any effect on heating performance. Talcum was used as the flat stone for flooring a room in both sites in which wide talcum were used for the parts a hypocaust flue passed and small talcum used for the other parts. It was found that there remain tunnel-type fire holes, cave-type fire holes and stone plateusing fire hole in the pattern of fire holes from the two sites, but these sorts of fire holes cannot represent a fire hole s proper function. Therefore, a fire hole should be divided into a fire hole directly linked to a hypocaust and a cooking fireplace. The certified tunnel-type fire hole, cavetype fire hole and stone plate-using fire hole could be sorted as a fire hole directly linked to a hypocaust. In addition, the raised kitchen fire entrance to an ondol flue was excavated more deeply than a hypocaust and the section linking to a hypocaust from a fire hole was made to be vertical. Due to the destroyed upper part facility of the chimneys from the two sites, it is hard to distinguish its initial form; nevertheless, it is estimated that a rotten hollow tree and cylinder type tree available nearby might have been used for these parts comparing with the examples of chimneys of traditional housing. In case of the 7th relic unit of Eupnaeri, Dangjin, there might be possibility of being a chimney facility using pottery. The bottom of a chimney of a dugout hut was light-refracted lower than a hypocaust surface, which structure gave trefoil effects. Though typical trefoil facility wasn t certified like in traditional housing, it is estimated that light-refracting lower than a hypocaust might have displayed an effective function of trefoil comparing a dugout hut of a small dimension. This studys investigation method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cave-type dwelling, but there remained no vestige of a hypocaust and flat stone used for flooring a room at the other cave-type dwelling. Therefore, it is required to be more careful in time of examination of this hypocaust and flat stone for flooring a room. There still remain issues to be clarified with care in time of investigation, such as a slope for a hypocaust, whether the flat stone for flooring a room is or not, whether a primary coating, second coating was done or not and whether a fire hole was the one linked directly to a hypocaust or a cooking fireplace. In addition, an examination about the function of cave spaces besides ondol spaces, whether the entrance facility exist or not, and whether the unearthed relics are related to a dugout hut is also necessary.

목차

Ⅰ. 머리말
Ⅱ. 온돌의 구조
Ⅲ. 조사순서
Ⅳ. 조사시 검토사항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복(Lee, Kyeong-bok). (2008).조선시대 움집에 설치된 온돌의 조사법 일사례. 호서고고학, 18 , 167-192

MLA

이경복(Lee, Kyeong-bok). "조선시대 움집에 설치된 온돌의 조사법 일사례." 호서고고학, 18.(2008): 167-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