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대천리식 집자리의 재검토

이용수 23

영문명
Re-Examination of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in the Neolithic Age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구자진(Koo, Ja-jin)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18집, 4~29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금강유역을 비롯한 충청내륙지역에서는 1990년대 이전까지 신석기시대 유적의 조사가 전무하다시피 하였다. 이후 청원 쌍청리 유적과 옥천대천리 유적을 비롯한 다수의 신석기시대 집자리가 조시되면서 이 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에 활력을 불어 넣었다. 이에 필자는 이들 유적을 검토하여 동시기의 동일한 패턴을 지닌 신석기시대 집자리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옥천 대천리 유적을 표지로 하는 ‘대천리식 집자리’를 설정한 바 있다. 이후 대천리석 집자리와 유사한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조사가 증가하면서 타 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대천리식 집자리에 대한 지역권을 설정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후속작업으로 기존의 대천리식 집자리와 함께 최근 조사된 장방형 신석기시대 집자리를 중심으로 입지와 구조 등을 분석하고, 이들 유적의 분포양상을 통해 대천리석 집자리를 재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대천리식 집자리는 주변지형을 두루 관찰할 수 있는 지리적 조건이 잘 갖추어진 지역에 위치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주변지역에는 충적대지가 비교적 넓게 펼쳐져 있으며, 매우 인접한 지역에 하천이 흐르고 있다. 기존의 대천리식 집자리 특징 중 집자리의 평면형태와 화덕자리의 구주, 집자리의 입지 등은 모든 유적의 집자리에서 공통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확인되나, 단벽에 돌출된 출입구시설과 내부공간분할은 유적에 따라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에 단벽에 돌출된 출입구시설 혹은 내부공간분할이라는 구조적 특징이 보이지 않은 집자리는 기존의 대천리식 집자리에 포함하되 세부적인 속성의 차이를 통해 ‘유사 대천리식 집자리’로 분류하였다. 결국 전형적인 대천리식 집자리는 금강 중·상류지역을 중심으로 한 1차 거점지역을 형성한 후, 그 주변지역으로의 확대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 주목되는 점은 아산·용인지역의 충남 북부지역에서는 중부 서해안지역의 특징적인 ‘서해안식 집자리’와 함께 공존하고 있어 각 지역별 집단간의 관계를 유추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re had been almost no survey on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age before the 1990s at the inland areas of Chungcheong-do including the Geumgang basin. Since then, with the survey of a multitude of dwelling site including remains at Ssangcheongri, Cheongwon and Daecheon-ri, Okcheon in the Neolithic age, the research work on dwelling site of this region in the Neolithic age began to get an impetus. With this, this researcher had certified the existence of dwelling site that had a similar pattern of the contemporary period in the Neolithic age by looking into these remains at this region and had set up a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ith a cover of the remains at Daecheon-ri, Okcheon before. After that, with the increase in surveys of dwelling site in the Neolithic age that were similar to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this researcher had also set up a regional block for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through the comparison and review of other regions dwelling site in the Neolithic age. This research, as a follow-up of such research, analyzed the location and structures centering on the recently surveyed rectangular dwelling site in the Neolithic age together with the existing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and also re-examined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through the distributional aspects of these remains. As a result of the review,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ere found to have a characteristic of being located at a region which was well equipped with geographical conditions having a good command of observing its surrounding topography. In addition, alluvial land is stretched comparatively wide over its neighboring areas and there flows a river at its very adjacent areas. The plane form of a dwelling site, structure of a stove place, and location of a dwelling sit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are certified to be all similar structures in common at the dwelling site of all remains, but there are some cases where the protruded entrance facilities on a terrace-typed wall and interior space partition are not certified according to remains. Thus, this research included the dwelling site not showing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entrance facilities on a terrace-typed wall or interior space partition in the category of the existing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and classified it as Quasi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its detailed attributes. I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a typical pattern of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formed the first position centering around the mid-upp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then extended to its adjoining areas. What draws much attention is that the dwelling site at the northern Chungnam region including Asan and Yongin districts co-exist with West coast type dwelling sit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central west coast areas, and these facts offers vital clues to infer the relations between dwelling site groups by each district.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현황 및 입지분석
Ⅲ. 대천리식 집자리의 재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진(Koo, Ja-jin). (2008).신석기시대 대천리식 집자리의 재검토. 호서고고학, 18 , 4-29

MLA

구자진(Koo, Ja-jin). "신석기시대 대천리식 집자리의 재검토." 호서고고학, 18.(2008): 4-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