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중·후기 흑유자기의 기형변화

이용수 89

영문명
Production period of Black-glazed Porcelains in middle·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金泰洪(Kim, Tae-Hong)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29집, 181~20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0.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흑유자기는 조선시대 옹기나 도기에 포함된 개념으로 인식되었으며, 기존의 연구에서도 문헌이나 과학적 분석으로 흑유자기의 개념이나 용도를 밝히는 것에 연구의 무게 중심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기존에 언급하지 못하였던 흑유자기의 제작양상과 기형변화를 최근에 조사된 백자·흑유자기 가마에서 제작된 백자를 바탕으로 흑유자기의 제작과 기형변화를 살펴보았다. 가마의 운영시기를 기초로 살펴본 흑유자기는 17세기 중·후반에호와 병이 중심이 되어 극히 소량만 제작하였다. 이후 흑유자기의 비중은 서서히 증가하여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호와 다양한 뚜껑 등이다량 생산되는 흑유자기 가마로 전환되었다. 제작된 흑유자기와 백자는 동일한 범주의 태토를 사용하였으나 유약은 서로 다른 계열로 차이를 보인다. 또한 두 종류의 자기의 기형은 가평 하판리 3호를 제외한 대부분의 가마에서 구연이나 굽 형태등 약간의 차이를 보이나 동일한 기형으로 제작하였다. 문헌자료에 나타난 흑유자기는 석간주·오자·칠기 등 다양한 용어로 기록되었다. 발굴조사 결과와 문헌자료를 비교한 결과, 석간주는 그릇에 검은 색을 내는 안료 또는 석간주로 시문한 백자를 뜻하며, 오자는 백토로 그릇을 만든 후 석간주 유약을 시유하여 제작한것임을 알 수 있다. 칠기는 오자와 태토가 다른 것으로 보아 다른 종류의 그릇이었다고 판단된다. 문헌에서 기록한 흑유자기의 기종은호, 병 등 일상용기를 주로 수록하였는데, 실제 가마에서도 이와 유사한 호와 병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해 보면, 17세기중·후반에서 19세기까지 백자·흑유자기 가마에서 출토된 흑유자기는 문헌에서 언급한 烏瓷로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연구는 백자의 편년을 바탕으로 흑유자기의 제작과 기형변화를분석하였으며 문헌기록을 통해 흑유자기의 용어와 실제 가마에서 출토된 고고학적 자료를 비교하여 흑유자기 용례를 분석한 것에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Black-glazed Porcelains were recognized by the concept included to Onggi(甕器) or Earthenware in Joseon Dynasty. Existing studies focus on the investigation of concept or uses of Black-glazed Porcelains through the documentary or scientific analysis. This thesis examined production and shape change of Black-glazed Porcelains which didn’t be mentioned previously in comparison with White Porcelain·Black-glazed Porcelains and White Porcelain produced in Kiln together. Extremely small quantity of Black-glazed Porcelains which were examined based on the management period of Kiln were produced by focusing on jar and bottle in medium and latter period of the 17th century. And then, proportion of Black-glazed Porcelains is slowly increased. And, lots of jars and various lids of Black-glazed Porcelains were produced and changed to Kiln producing White Porcelain additionally in the latter period of the 18th century. Black-glazed Porcelains and White Porcelain used the clay in same range and glaze in different range. Also, ceramic type of two kinds were manufactured by same type in most of Kilns except for the third of Hapan-ri, Gapyeong. But, there are a few differences in guyeon, gup type, decoration method, etc. Black-glazed Porcelains of documentary material were recorded by various words such as raddle(石間間)·Oja ceramics(烏瓷)·Lacquerware(漆器), etc. Raddle means White Porcelain that black paint or raddle is painted on bowl and Oja ceramics are produced by raddle glaze after producing bowl with white clay. Lacquerware uses different clay from that of Oja ceramics, so they are judged to be different kinds of bowl. The kinds of Black-glazed Porcelains recorded in document were daily containers such as jar, bottle, etc. but there are similar jar and bottle in actual Kiln. If synthesizing the contents, Black-glazed Porcelains which had been discovered in Kiln with a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and Black-glazed Porcelains from middle and latter stage of th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may be the Oja ceramics mentioned in document. This research analyzed production and shape changes of Black-glazed Porcelains in comparison with chronology of White Porcelain. And, it’s significant to analyze the cases of using Black-glazed Porcelains by comparing words of Black-glazed Porcelains with archaeological data discovered in actual Kiln through the document research.

목차

Ⅰ. 머리말
Ⅱ. 흑유자기의 출토양상과 제작시기 추정
Ⅲ. 흑유자기의 기형변화와 백자와의 관계
Ⅳ. 문헌자료로 본 흑유자기의 개념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泰洪(Kim, Tae-Hong). (2013).조선시대 중·후기 흑유자기의 기형변화. 호서고고학, 29 , 181-209

MLA

金泰洪(Kim, Tae-Hong). "조선시대 중·후기 흑유자기의 기형변화." 호서고고학, 29.(2013): 181-2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