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aleolithic Cave Home Bases, Bone Tools, and Art and Symbolism: Perspectives from Korea

이용수 14

영문명
구석기 동굴 유적에서 발견된 집자리, 골각기, 예술 및 상징 행위에 대하여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Bae, Christopher J.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29집, 49~95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0.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난 반 세기동안 척추 동물을 이용한 화석형성학 연구는 고인류학의 복잡하고도 다양한 쟁점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해 왔다. 이러한 학문적 발전 덕에 이제는 유적을 발견했을 때 1) 그 유적이 집자리 유적인지, 2) 석기가 출토되지 않았다고 해서 유적에서 발견된 부러진 뼈나 뿔 그리고 치아가 도구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는지, 3) 그 유적에 예술과 상징행위의 증거가 있는지와 같은 질문에 보다 설득력 있는 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구석기 고고학 자료를 통해 이러한 연구 주제에 대해 동물고고학 분석이 해 온 역할에 대해 리뷰를 해 보았다. 한국의 경우, 이미 동물고고학계에서 표준으로 인정받고 있는 화석형성학적 방법론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은 채 동물뼈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 이를 통한 과거 인류의 행위 추론 및 해석에 의문이 제기 되어 왔다. 이 리뷰를 통해 필자는 한국의 플라이스토세 동물뼈 자료가 학문적인 중요성을 지니며, 고인류학적 논쟁에 기여를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제대로 된 화석형성학적 이론과 방법론의 적용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Over the past one half century, vertebrate taphonomy has contributed tremendously to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ies revolving around various debates in paleoanthropology. In particular, we are now in a better position to address questions like: 1) Did these sites serve as hominin home bases? 2) Due to the absence of stone tools, were the fractured bones, horns/antlers, and teeth used as tools instead? 3) Is there any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Paleolithic art and symbolism at the site? This paper reviews the Korean Paleolithic record in the context of these various questions. Importantly, the apparent nonapplication of fairly accepted taphonomic methodologies to the Korean Pleistocene vertebrate faunal record has led to questionable interpretations of the Paleolithic hominin behavioral record. It is recommended here, that in order to help promote any potential contributions the Korean Pleistocene faunal record may have to offer to broader paleoanthropological debates, any analyses of associated faunal remains must be grounded firmly in taphonomic method and theor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Caves as Hominin Home Bases
Ⅲ. Bone Tool Culture
Ⅳ. Art and Symbolism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Bae, Christopher J.. (2013).Paleolithic Cave Home Bases, Bone Tools, and Art and Symbolism: Perspectives from Korea. 호서고고학, 29 , 49-95

MLA

Bae, Christopher J.. "Paleolithic Cave Home Bases, Bone Tools, and Art and Symbolism: Perspectives from Korea." 호서고고학, 29.(2013): 49-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