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湖西地域靑銅器時代前期聚落의 中心과 境界

이용수 69

영문명
The Center and Boundary of the Early Bronze Age Settlements in the Hoseo Region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許義行(Heo, Ui-Haeng)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31집, 37~6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호서지역은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以東과 以西에서 청동기시대 전기의 취락유형 분포를 명확히 하는 곳이다. 최근까지 차령산맥 이서는 역삼동과 흔암리유형이 동일한 문화를 근간으로 서로 공존해 온 것으로, 이동은 가락동유형만 존재한 것으로 인식해 왔다. 그러다 미사리유형의 호서지역 내 출현을 계기로 전기 보다 이른 早期의 취락유형을 설정해 가는 분위기다. 더불어 조동리유형이라는 새로운 취락유형의 설정도 같이 진행되면서, 호서지역 내 취락유형의 분포 양상은 다시금 복잡해져 가고 있다. 본고에서 상기한 취락유형들을 재검토한 결과, 호서지역 내 청동기시대 전기의 취락유형은 역삼동과 가락동, 미사리, 조동리유형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상기 취락유형들은 호서의 일정 지역을 거점으로 하여 정착과 전개, 확산의 과정을 진행해 가는데, 나름의 분포권역을 형성하면서 고고학적 물질자료의 특징을 뚜렷이 갖추어 간다. 그러나 주 분포권역의 중심을 벗어난 외곽에 이르면 타 취락유형의 물질자료들과 복합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더구나 각 취락유형별 분포권역의 외곽, 곧 경계지대에서 그러한 현상을 더욱 뚜렷이 볼 수 있는데, 물질자료의 상호보완이든, 배타든 나름의 문화적 접촉과 차단의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지리학과 생태학에서 개념 정의해 온국경(또는 접경지역)과 가장자리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러한 물질자료의 복합현상은 크게 4개 지대로 구분되어 나타나며, 각 지대별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각 취락유형 간 고유한 특징을 갖는 분포권역 지대(중심지대), 중심지대를 벗어나 취락유형의 확산이 차단되는 지대(차단지대), 각 취락유형의 고고학적 물질자료가 서로 접촉하는 지대(접촉지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취락유형의점유가 변화해 가는 지대(이행지대) 등이며, 각 지대에는 서로 다른 9형태의 다양한 문화 복합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e Hoseo region, the distribution of types of settlements is distinctive on the east and west sides of Charyeong Range. However, on the west side, Yeoksam-dong and Heunam-ri types were perceived as settlements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the same settlements. With the recent appearance of the Misari type in the Hoseo region, the corresponding period was defined as the early representative cultural period, and the Misari type is understood as an earlier-time settlement type than the Garak-dong type. This paper examined the bovementioned settlement types, revealing that in the first half of the Bronze Age, within the Hoseo region, Yeoksam-dong, Garak-dong, and Misari types existed. These settlements developed and expanded, tak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ed zone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However, in peripheral areas, the diversity of archeological materials was observed. This phenomenon was distinctive in the borders of peripheral areas where various settlements were distributed. Contacts of individual settlement types and cultural combinations, which may involve mutual complementation or exclusivity, occurred. The shapes of borders and peripheral areas, as defined in geology and ecology, also appeared in the Hoseo region in cultures in the first half of the Bronze Age. Such patterns are classified into four zones: central settlement zone, zone where theexpansion of other settlements were cut off, zone where materials of individual settlement types ca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zone where types of settlements changed over time. In detail, nine cultural combination phenomena were confirmed

목차

Ⅰ. 머리말
Ⅱ. 취락유형의 분포와 설정
Ⅲ. 경계지대의 고고학적 양상
Ⅳ. 중심과 경계지대의 취락유형 관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許義行(Heo, Ui-Haeng). (2014).湖西地域靑銅器時代前期聚落의 中心과 境界. 호서고고학, 31 , 37-69

MLA

許義行(Heo, Ui-Haeng). "湖西地域靑銅器時代前期聚落의 中心과 境界." 호서고고학, 31.(2014): 37-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