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江原嶺東地域新石器時代農耕受容과 生計樣相의 變化

이용수 24

영문명
The Adoption of Agriculture and Changes in Subsistence Patterns in the Neolithic, Youngdong Region of Gangwon Province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趙銀河(Jo, Eun-Ha)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31집, 4~35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원 영동지역에서는 5,000B.P.를 전후로 기후의 한랭화가 진행되어 이로 인한 생계환경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중기에는 조·전기에 비해 유적 규모가 확대되고 주거지의 면적도 증가하고 있어 인구의 증가가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신석기시대 중기에 발생한 이런 환경적 변화로 인해, 보다 풍부한 식료 자원을 안정적으로 취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새로운 식료취득방식으로 초기 농경의 기술이 유입된다고 추정하였다. 초기 농경의 비중과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작물조성을 확인한 후 석기조성비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작물조성을 확인한 결과 조, 기장, 콩속 등의 작물재배가 확인되었다. 재배 형태는 신석기시대 중기 로 비정되는 고성 문암리유적의 밭유구를 통해 추정 가능한데, 유기물 집적층 위에 이랑과 고랑을 이용하여 작물들을 복합적으로 재배하는 형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기조성분석 결과 대체적으로 수렵채집에 관련된 석기는 증가하는 반면 농경에 관련된 석기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가 확인되었다. 즉 농경 도입 이후 수렵채집이 오히려 강화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데, 농경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익숙한 방식을 확대시켜 식료의 안정화를 선택하였던 결과로 보여진다. 이를 통해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중기에 초기 농경이 시도되었지만 그 비중은 작았으며 오히려 수렵채집경제가 강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weather of Yeongdong region, Gangwon Province became cold closely before and after 5,000B.P. and changed the subsistence environment in the area. Also, the scales of relic and living area of the Middle Neolithic Period are larger compared to the before and the early part of the period so that the population increase during the period is assumed. In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agricultural technique led the food acquisition measure for the purpose of stable and sufficient food resource due to such environmental change occurred in the Middle Neolithic Period. The analysis on the composition ratio of stone tool is attempted after verifying the cropcomposition to find the weight and the formation of early agriculture in the subsistenceeconomy. First,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n the crop composition, the crop farming of millet, hog millet and beans is verified. The crop style that is assumed according to the ancient crop filed in Munam-ri, Goseong considered to be from the Middle Neolithic Period refers a kind of farming for combined crops by forming ridges and furrows over the organic horizon. The stone tool analysis shows that stone tools related to the hunting and gathering are increasing in general while stone tools related to the agriculture are rather decreasing. Such result may refer that the stability of food was secured by rather extending the already familiarized method than actively applying the new method. From this outcome, it is found that, although the initial agriculture in Yeongdong region was attempted in the Middle Neolithic Period, the weight of agriculture was a little and the hunting and gathering economy was rather reinforced.

목차

Ⅰ. 서론
Ⅱ. 신석기시대 초기 농경에 대한 기존의 이해
Ⅲ. 강원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환경과 농경관련유적의 양상
Ⅳ. 강원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생계 양상 비교
Ⅴ. 강원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농경 유입과 생계경제적 변화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趙銀河(Jo, Eun-Ha). (2014).江原嶺東地域新石器時代農耕受容과 生計樣相의 變化. 호서고고학, 31 , 4-35

MLA

趙銀河(Jo, Eun-Ha). "江原嶺東地域新石器時代農耕受容과 生計樣相의 變化." 호서고고학, 31.(2014): 4-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