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별과 남녀공학 학교환경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프로파일 차이와 변화분석

이용수 278

영문명
Self-perceived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e Profile of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and Coeducation Difference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은주(Eun Ju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2, 366~391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2013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급(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과 성별(남학생, 여학생), 성별구분학교(남녀공학 남학생, 남녀공학 여학생, 여학교 학생, 남학교 학생) 집단에 따른 국내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SCC) 프로파일 차이와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법: 독립변수에 대해서는 교차분석(χ2 test) 차이검증을 실시하고, 성별(남, 여)과 학급(중2, 고1), 성별구분학교(남녀공학 남학생, 남녀공학 여학생, 남학교 학생, 여학교 학생) 독립변수에 따른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SCC 10문항, 공감, 소통능력, 종합점수) 차이검증은 다변량분석(MANOVAs)을 실시하였다. 결과: 1)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인지, 화용언어 사용역은 성별과 성별구분학교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이외 대부분의 SCC에서는 여학생의 평가가 높았다. 2) 남녀공학 상황에서 남학생은 사회적 능력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F(3, 3029)=2.88, p<.05; F(3, 3029)=2.58, p=.052). 3) 남학생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능력과 친사회적 능력에 대한 평가가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F=12.37, p<.001; F=17.29, p<.001). 4) 남학생은 중학교때 남녀공학 경험이 사회적 능력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은 여자중학교 남녀공학 고등학교 재학 경험이 전반적인 SCC 평가평균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논의 및 결론: SCC 문항 평가와 점수는 성별과 학급 또는 성별구분학교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임상가는 청소년에 대한 SCC 평가와 결과에 대한 해석, 그리고 중재에 있어 성별 및 학교배경 요인을 고려해야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data of 2013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a Korean adolescents’ panel study, to examine the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C) development by gender and coeducation. Methods: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d first year of high school were used in the “2013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conducted on Korean adolescents. Group differences (gender 2: male and female; coeducation 4: coeducation girls, coeducation boys, boys’ school, girls’ school; class 2: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e SCC questionnaire scores were analyzed using MANOVAs. Results: 1) Communication skill, social cognition, and the pragmatic language register did not differ depending on gender and coed groups, but most other SCC skills exhibited a high evaluation of female students. 2) In coeducational situations, boys had improved social abilitie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F(3, 3029)=2.88, p<.05; F(3, 3029)=2.58, p=.052). 3) As the age of boys increased, the evaluation of their social & pro-social abilitie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female students (F=12.37, p<.001; F=17.29, p<.001). 4) Boys’ experience in coeducation affected their social abilit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while girls’ experience in girls’ middle school and coeducational high school affected their SCC evaluation average improvement. Conclusion: SCC scores can be influenced by gender and class or coeducation factors, so clinicians should consider gender and school background factors i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SCC assessment for adolescent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Eun Ju Lee). (2021).성별과 남녀공학 학교환경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프로파일 차이와 변화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2), 366-391

MLA

이은주(Eun Ju Lee). "성별과 남녀공학 학교환경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프로파일 차이와 변화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2(2021): 366-3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