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적 피드백 유무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청년의 음성조절능력

이용수 122

영문명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on the Voice Control Ability of Pre-lingual Deafened Young Adults with Cochlear Implant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강지은(Ji Eun Kang) 이영미(Youngmee Lee) 심현섭(Hyun Sub S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2, 525~54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청년과 정상 청력 청년 간 음성조절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인공와우이식 청년의 인공와우 관련정보, 수행력과 음성조절능력 변수(음성역동면적, VRP 기울기)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만 7세 이전에 인공와우를 이식한 청년 12명(여성 8명, 남성 4명)과 성별 및 연령을 일치시킨 정상 청력 청년 12명이 참여하였다. 시각적 피드백 유무에 따른 음성조절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음성범위프로파일(VRP)이 사용되었다. 결과: 정상 청력 청년의 음성역동면적은 인공와우이식 청년보다 유의하게 컸으며, 청각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시-청각적 피드백이 제공되었을 때 음성역동면적이 유의하게 컸다. VRP 기울기는 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청각적 피드백만 제시되었을 때보다 시-청각적 피드백 제공시의 기울기가 유의하게 작았다. 인공와우이식 청년 집단의 자음정확도와 VRP 기울기 간에는 강한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만 7세 이전에 인공와우를 이식한 선천성 농인은 생활연령이 일치하는 정상 청력 청년과 같이 정상적인 음성조절능력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인공와우이식 청년은 음성조절을 위해 시각적 정보를 활용할 수 있었다. 음성역동면적은 음성조절능력을 측정하는 변수로서 적절하나, 음성역동면적과 VRP 기울기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결과를 분석할 때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oice control ability between young adults with cochlear implants (CIs) and a normal hearing (NH) group.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CI-related characteristics, performance, and acoustic measurements (i.e., voice dynamic area, voice range profile slope). Methods: Participants were 12 young adults (8 females and 4 males) who had CIs before 7 years of age, and 12 NH young adults who matched their sex and age. A voice range profile (VRP) program was used to evaluate voice control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visual feedback. Results: The voice dynamic area (VDA) of the NH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CI group, and the VDA was significantly greater when the visual-auditory feedback was presented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hear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VRP slope, but the slope was significantly smaller when the visual-auditory feedback was provided than when only the auditory feedback was provide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onant accuracy and the VRP slope in the CI group. Conclusion: Congenitally deafened young adults didn’t achieve normal voice control abilities in comparison with NH. However, CIs were able to use the visual information in order to better control their voice. Additionally, the VDA is appropriate as a variable to measure the voice control ability of CIs, but the VDA and the VRP slope are complementary and need to be considered together when analyzing the result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은(Ji Eun Kang),이영미(Youngmee Lee),심현섭(Hyun Sub Sim). (2021).시각적 피드백 유무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청년의 음성조절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2), 525-544

MLA

강지은(Ji Eun Kang),이영미(Youngmee Lee),심현섭(Hyun Sub Sim). "시각적 피드백 유무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청년의 음성조절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2(2021): 525-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