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기의 원시발성 산출과 가정 언어 환경

이용수 134

영문명
Infant Vocalizations and Early Home Language Environment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류현주(Hyunjoo Yoo)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2, 263~27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일상생활에서 관찰되는 영아 및 성인 지향어의 실제 산출 비율, (2) 영아 및 성인 지향어의 유무에 따른 원시발성의 산출 비율 변화, (3) 영아 및 성인 지향어 산출 비율 변화와 원시발성 산출 비율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 데 있다. 방법: 종단 연구를 위하여 LENA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녹음기로 수집된 일반 영아 16명과 양육자의 발성 자료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청지각적 기준에 따라 영아의 원시발성을 분류하고 분당 평균 산출량을 분석하였다. 양육자의 영아 및 성인 지향어 사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석자들이 각 녹음 파일의 언어 환경을 판단하였다. 연구 자료 분석은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를 사용하였다. 결과: 일상생활에서는 양육자가 영아에게 지속적으로 말을 걸거나 반응하기 보다는 상황에 따라 중간 정도로 반응하였다. 영아 원시발성의 분당 평균 산출량은 영아 지향어가 산출되었을 때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성인 지향어의 경우는 원시발성 산출량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은 없었다. 원시발성 분당 산출량은 영아 지향어가 각 녹음 파일의 중간 정도로 산출되었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성인 언어 자극의 양적 증가가 선형적으로 원시발성 산출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영아의 최적 발달에는 오히려 중간 정도의 자극과 반응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설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t is well known that infant-directed speech (IDS) facilitates early language acquisition. There is also growing evidence that adult-directed (ADS) or overheard speech may influence language learning. Given the importance of early language environment in infancy, greater attention must be pai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ing home language environment as well as relations between language input and infant volubility.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IDS and ADS in a naturalistic environment, (2) to examine infant volubility across differing circumstances, and (3) to explore relations between caregiver volubility and infant volubility. Methods: Sixteen caregiver-infant dyads living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Caregiver and infant vocalizations were recorded using all-day LENA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recorders in their homes as part of a longitudinal study. We quantified the number of infant speech-like vocalizations (i.e., protophones). We also estimated the amount of caregiver volubility.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were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caregivers did not constantly talk to their inf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ant volubility between the IDS and No IDS circumstanc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DS and No ADS circumstances. Infant volubility was found to be highest when caregiver volubility ranged in the middle. Conclusion: This study may support a midrange hypothesis which suggests that midrange interaction is optimal for infant development outcom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현주(Hyunjoo Yoo),하승희(Seunghee Ha). (2021).영아기의 원시발성 산출과 가정 언어 환경.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2), 263-273

MLA

류현주(Hyunjoo Yoo),하승희(Seunghee Ha). "영아기의 원시발성 산출과 가정 언어 환경."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2(2021): 263-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