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수준과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의 관계

이용수 0

영문명
Implementation Levels and Factors Related to Implementing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Preschool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노진아(Noh, Jina)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7권 제3호, 159~18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7.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수준을 알아보고 이러한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각 지역에 있는 유아교사를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28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 부분에서 가장 높은 실행을 보이고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들을 보통 혹은 그 이하의 수준으로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었다. 이러한 실행 수준은 변인별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적절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대한 반응’에서의 실행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라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 에서의 실행이 다르게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라 ‘적절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대한 반응’,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을 제외한 모든 범주에서의 실행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리’와 ‘지원’ 영역 간에 상관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기관유형이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에 가장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을 유치원 현장에서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us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preschools and to explore seve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preschool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packets were distribu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out South Korea, and 12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implementation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s a resul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most frequently implement strategies in ‘organiz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s’. They generally implemented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at the medium level or below the medium level.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ased on certain variables: (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sponses to appropriate behaviors and challenging behaviors’ according to teacher age.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organiz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 according to teacher experience. (3) Except for ‘responses to appropriate behaviors and challenging behaviors’ and ‘organiz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categories according to institution type. Also,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management’ and ‘support’. Furthermore, ‘institution type’ was the best predictive of implementing strategies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pre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ways to facilitate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early childhood setting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진아(Noh, Jina). (2014).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수준과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의 관계.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 (3), 159-183

MLA

노진아(Noh, Jina).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수준과 유아교사의 배경변인과의 관계."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3(2014): 159-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