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말선초 향교 건립의 추이

이용수 234

영문명
Trends in the Construction of Local Confucian School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신동훈(Shin, Dong-hoon)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43권, 33~6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 말 향교 복구는 국방의 안정화에 따른 지방 사회의 안정, 지배 이념으로 서 성리학의 위상 강화, 원의 향교 설치 조서 등에 의해 이뤄졌다. 복구된 향교 는 고려 향교의 영향으로 廟와 學의 구역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다. 교과 내용 을 확인할 수 없지만 학문 풍토의 변화에 따라 점차 禮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해 갔다. 조선 건국 후 향교는 전국의 군현에 설치되었지만, 향교 건립은 산발적으로 이뤄졌다. 고려부터 향교가 이어진 경우, 건국 즈음에 새롭게 지어지는 경우, 고 려부터 이어졌던 향교가 중건되는 경우, 건국 즈음에 새롭게 지어졌던 향교가 중건되는 경우가 제각각 이뤄졌다. 이러한 향교 건립 양상은 각 고을이 처한 정 치적·경제적 상황에 따라 향교가 건립되었기 때문이었다. 향교의 건립 상황에 따라 그 내부 구성 요소도 다르게 나타났다. 대성전의 경 우 위패가 아닌 塑像을 안치하거나 그림을 걸어둔 경우가 있었다. 이는 고려부 터 사용하던 것을 그대로 사용했거나, 혹은 위패 사용이 공식적으로 결정되기 이전에 지어진 경우에 해당했다. 강당은 대규모 인원을 한 번에 수용할 만한 행 사가 있을 경우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있으면 좋은 것이지만 꼭 있어야 하는 건물은 아니었다. 樓는 혹서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향교의 필수 요소라기보 다는 ‘있으면 좋은’ 건물이었다. 강당과 루는 각 고을의 재정 형편에 따라 보유 여부가 달랐다. 향교 學舍가 건립되기 전까지 政廳·私家·절 [寺] 등의 공간을 빌려 교육을 행했다. 별도의 공간을 갖지 못하고 다른 공간에 거처하던 ‘寓居 향교’는 고려 말 지방 사회의 동요와 누적된 전란의 피해로 온전한 단독 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측면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e restoration of the Local Confucian School was carried out by the stabi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due to the stabilization of national defense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status of Neo-Confucianism as the ruling ideology. The restored Local Confucian School was not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the shrine[廟] and the study[學] area due to the influence of the Goryeo Local Confucian School. Although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cannot be confirmed, it has gradually emphasized the practical aspects of courtesy as the academic climate changes. Local Confucian School was established nationwide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 construction of Local Confucian School was sporadic. This aspect of the establishment of Local Confucian School was due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of each village. Therefore, each local Confucian school also showed different internal components. Local Confucian School even rented and used other places.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it is estimated that the construction of local Confucian schools showed a sporadic tendency due t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local Confucian schools while the financial situation of each village was assumed.

목차

1. 머리말
2. 고려 말 향교 복구 양상
3. 조선 건국 이후 향교 건립 양상
4. 향교의 공간 구성 요소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동훈(Shin, Dong-hoon). (2021).여말선초 향교 건립의 추이. 한국사학사학보, 43 , 33-64

MLA

신동훈(Shin, Dong-hoon). "여말선초 향교 건립의 추이." 한국사학사학보, 43.(2021): 3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