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문대학생의 몸마음챙김 명상 수업에 관한 통합연구

이용수 97

영문명
A Mixed Study on the Somatic Mindfulness Medit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Mindfulness, Body Awareness, and Ego-resilience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강화(Kang, hwa) 김안나(Kim, anna)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5권 제3호, 207~22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몸마음챙김 명상 수업이 전문대학생들의 마음챙김, 신체자각, 자아탄력성 수준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20년 2학기 경기도 소재 C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n=91)들로교양필수인 몸마음챙김 명상 수업에 참여한 학생 가운데 51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마음챙김과 신체자각 훈련이 없는 인문학 교양강의를 수강한 학생 40명이다. 두 그룹 모두개강 첫주와 14주차에 마음챙김, 신체자각, 자아탄력성 척도를 각각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동질성 검증하고, 평균과 표준편차,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수업 참여율과 태도, 자율수련 수행 빈도가 높은 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실시하여 몸마음챙김 명상 수업을 통한 경험 및 자율수련과 일상의 변화를 질적분석 하였다. 양적연구결과, 마음챙김(F=10.531, p<.01), 신체자각(F=19.867, p<.001), 자아탄력성(F=4.349, p<.05), 모두에서집단과 측정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질적 분석은 신체, 정서, 인지, 일상 영역총 4개의 영역, 15개의 범주로 세분화하였다. 질적연구 결과는 신체영역에서 ‘심신의 불편감 해소’ 등이, 정서영역에서 ‘부정적 감정과 거리가 생김’, ‘짜증이 줄어듦’이, 인지영역에서 ‘생각과 실재의차이를 알게 됨’, ‘자신에게 너그러워짐’ 등이, 일상영역에서 다양한 명상경험으로 ‘나에게 맞는 명상수련을 활용함’ 등으로 학습과 생활에 반영하여 스트레스를 줄여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생을 포함한 대학교육 내 정신건강 교양의 필요성과 미래 인성교육기반으로서의마음챙김에 대한 적극적 수용에 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that a somatic mindfulness course had upon the body awareness, ego-resilience and mindfulness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included 91 students attending C college, located in Gyeonggi-do. 51 students were assigned to a somatic mindfulness meditation course, and 40 students (the control group) were assigned to a humanities course, without any mindfulness and body awareness training involved. The results of mindfulness, body awareness, and ego-resilience upon the two groups were assessed in week 1, and again when the course was over after 14 weeks. Homogeneity using a variance test, the mean, the standard deviation, and a mixed 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0 program. In parallel with thi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students in order to evaluate their personal experience of the somatic mindfulness meditation course, along with their experience of practicing the course’s techniques at home. Finally, the study assessed any changes that the students might have felt as a result of taking this course. The stud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ttitude toward the course, their attendance record, and their home practice rate. The quantitative data results showed that in all mindfulness (F=10.531, p<.01), body awareness (F=19.867, p<.001), and ego-resilience (F=4.349, p<.05),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of assess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four areas: 1) physical, 2) emotional, 3) cognitive, and 4) everyday life, as well as into 15 subcategories. The subcategories included ‘decrease of mind-body discomfort’ in the physical area, ‘being able to maintain some distance from negative emotions’, ‘reduced frustration’ in the emotional area, ‘being aware of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and reality’, ‘becoming generous with myself’ in the cognitive area, and ‘choosing a meditation method for myself’ in the everyday life are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managed the stress they experienced from their school work and in their personal lives using what they learned from the course. Based on these results, the use of mindfulness as a way of educating self-care for mental health, and as a tool for future character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s further discussed.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화(Kang, hwa),김안나(Kim, anna). (2021).전문대학생의 몸마음챙김 명상 수업에 관한 통합연구. 교양교육연구, 15 (3), 207-223

MLA

강화(Kang, hwa),김안나(Kim, anna). "전문대학생의 몸마음챙김 명상 수업에 관한 통합연구." 교양교육연구, 15.3(2021): 207-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