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사회적 평판과 인정구조 재성찰

이용수 254

영문명
Re-examination of the Social Reputation and Recognition Structure of Yangban Women in the Late Chosǒn era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최기숙(Choe, Keysook)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2권, 185~232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예기』에 근거해 조선시대 ‘부인의 행실은 문지방/규문을 넘어서지 않는다’는 표현을 일종의 문학적 클리셰처럼 서술했던 조선시대 문헌 자료와 그 외연을 폭넓게 검토함으로써, 이것이 함축하는 당대의 양반 여성에 대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이해의 실상을 분석해,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사회적 존재감, 관계성, 사회적 연결망, 인정구조를 재성찰했다. 조선 시대에 양반 여성의 존재감이 가정 안으로 한계지어졌고, 사회적 관계망이 남성에 비해 협소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성은 언어, 태도, 감각, 신체성, 글쓰기, 사회적 교섭, 정치적 처신 등을 통해 당대적/역사적으로 존재감과 가치를 인정받았다. 왕실, 양반, 평민, 천민 등 다양한 신분의 여성들에 대한 남성-글쓰기가 여성의 가치를 사회화/역사화했고, 여성 자신이 글을 통해 자기 증명을 한 경우도 있었다. 여성의 구술 대화, 경험, 전언이 남성의 문헌 기록 속에 인용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반 여성을 규문 내의 존재로 한정 짓는 담론 구조는 실제 사회적으로 인정되었던 여성의 가치와 존재감을 다시 지우거나 배제해, 결과적으로 여성의 역량을 보편적으로 평가절하는 일종의 사회적 ‘장치’로 작용했다. 조선시대 여성은 사회적 인정구조에서 배제되지 않았지만, 대상화되어 있었고, 바로 이 점이 역설적으로 조선시대 여성에 대한 사회적 감시망으로 작동할 잠재적이고도 현실적인 동력으로 작용했다. 여성의 덕을 규문 안으로 한정 짓는 글쓰기/사유의 관습은 여성의 언행권에 대한 사회적 통제를 정당화하는 규범으로 작용해 여성의 존재감을 무력화하거나 희석시키는 역할을 했다. 남성이 수행한 여성의 생애사 기록은 여성 존재의 사회화/역사화 경로를 남성에게 위임함으로써, 여성을 대리적 존재로 재구성해 사회적 위치성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글에서는 소수자 및 하위주체와 공생하는 실천적 문화 문법을 위한 자원 탐색적 연구로서, 이 연구의 문제의식, 논증 방식, 결과를 활용해 성찰적 공론장을 형성하기 위한 토대로 삼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tensively examines the documentary materials of the Chosǒn era that described the expression “a wife s conduct does not go beyond the threshold/gyumun”, based on Liji, as a kind of literary cliché. By analyzing the reality of general understanding of women, it reexamined the literary texts, which were written by elite literati, regarding social presence, relationships, connections, and recognition structures of women in the Chosǒn era. It is true that during the Chosǒn period, the activity and presence of yangban women was mainly limited within the family, and the social network was narrower than that of men. However, women were recognized for their presence and value in the contemporary/historical period through language, attitude, sense, physicality, writing, social interaction, and political conduct. Male-writing on women of various statuses, such as the royal family, yangban, commoners, and ordinary people, socialized/historicized women’s values, and in some cases, women themselves proved themselves through writing. Women’s oral conversations, experiences, and messages have also been cited in men s literary texts. Nevertheless, limiting yangban women to the existence of women in kyumun (insede yangban family’s gate) again erased, minimized or excluded women’s values and presence that were recognized socially, and consequently acted as a kind of social ‘appartus’ that universally devalued women’s capabilities. Women in the Chosǒn era were not excluded from the social recognition structure, but were objectified. This, paradoxically, served as a potential and realistic engine to act as a social surveillance network for women in the Chosǒn era. The custom of writing/thinking, limiting women s virtues into the rules, served as a norm justifying social control over women s right to speak and act, thereby neutralizing or diluting women s presence. The record of women s life history written by male literati has resulted in weakening social position by reorganizing women into surrogate entities by entrusting the path of socialization/historization of women s existence to men. No one who was born as a human being and lived in society can become the secret of life and history. No existence, society, or institution can make a real human being a transparent shadow. At the same time, any idea, ideology, ethics, or moral idea that presents a vision for the direction and value of life to humans cannot be freed from the gaze and evaluation of reflection reconstructed in the course of history. It is a truth proven by diachronic history that the praiseworthy virtues of an era are sometimes reconsidered or abolished due to bitter criticism in the course of history. The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of the reputation and recognition structure of women in the Chosǒn era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eriod. This article was written as a resource-exploring study for a practical cultural grammar that coexists with minorities and sub-subjects. By using the problem consciousness, argumentation method, and results submitted in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forming a reflective public sphere of modern humanities.

목차

1.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사회적 관계망과 인정구조 재성찰
2. ‘부인의 행실은 문지방을 넘어서지 못한다’는 표현의 맥락과 실상
3. 여성-정보는 언제나 규문 밖으로 흘러넘쳤다: 기록과 현실
4. 양반 여성의 평판을 둘러싼 사회적 상상력: 한계와 가능성
5. 여성 평판의 역설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기숙(Choe, Keysook). (2021).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사회적 평판과 인정구조 재성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2 , 185-232

MLA

최기숙(Choe, Keysook). "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사회적 평판과 인정구조 재성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2.(2021): 185-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