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한문학에 나타난 여사(女史)의 형상화 고찰

이용수 120

영문명
A Study on the Figuration of Yeosa in the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김경숙(Kim, Kyung Sook)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2권, 253~28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사는 사대부 혹은 남성 지식인의 시문에서 호칭되고 형상화되었다. 먼저 여사의 의미 및 여사(女士)와의 관계를 살폈다. 여사는 16세기 전반 공적(公的) 시문에서 여사관(女史官)이란 의미로 사용되었다. 16세기 이후 18세기 말까지는 죽은 이를 기리는 시문에서 여사(女士)라는 뜻도 지니게 되었다. 덕행을 바탕으로 집안을 잘 다스리고 후손이 잘되게 한 사대부 가문의 여성이 여사라고 개념화되었다. 18세기 이후 여사의 다양화 및 의미 범주의 확장이 나타났다. 그림을 덕행과 더불어 여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아, 덕행과 화가의 능력이 있는 사대부 여성을 여사로 보았다. 19세기 중반에는 여사가 예술가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사대부들은 여사들과 시문 혹은 그림을 통해 교유하였다. 여사들은 시·서·화에 능했으며 대체로 신분이 기녀이거나 소실이었다. 여사는 시희, 시아, 교서 등의 호칭을 아우르며 대표하는 호칭이었다. 곧, 신분이 낮은 여성들에게 적용 확장되었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는 중국과 일본의 여사들이 형상화되었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까지 활약했던 청나라 여성 화가들을 통해, 여사가 뛰어난 화가이면서 신분적 우위에 있는 여성이란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일본 여사들은 신분이 높았으며 명망 있는 문인이나 화가 집안 출신으로, 입지를 다진 화가였으며 여성 교육에도 힘썼다. 곧, 청·일의 시·서·화에 뛰어난 신분 높은 여성, 나아가 여성 교육에 힘쓴 이들을 여사라고 하였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우리나라 여사 의미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조여사』는 여사 선정 기준을 다양화했고 신분에 관계없이 남다른 행적이 있으면 서술하였다. 여사의 범주를 확장하였고 나라의 위기를 당하여 여사를 본받고자 하였다. 『동양역대여사시선』은 조선 여사 63명과 그들의 시 140제를 수록하였는데, 신분에 얽매이지 않고 시에 뛰어난 여성 작가들을 여사라고 하였다. 이로 볼 때 20세기 초에 이르면 여사의 형상화가 신분을 벗어나 덕행, 예술, 학문, 교육 등 여러 분야에서 남다른 행적이 있는 여성으로 확장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ed the figuration of Yeosa(女史) in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r now, Yeosa(女史) is characterized by being called and shaped in the literature of the Sadaebu(士大夫) or male intellectuals. First, I looked at the meaning of the word Yeosa(女史)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word Yeosa(女士).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Yeosa(女史) had been meant Female Historian(女史官) in the public record. From the 16th century until the end of the 18th century, Yeosa(女史) also had come to mean Yeosa(女士) in the poem honoring the dead. It was conceptualized that women of Sadaebu(士大夫) family, who had ruled the family well and made her descendants successful based on her virtue, was a Yeosa(女史). Next, I looked at the diversification of Yeosa(女史) and the expansion of meaning categories of Yeosa(女史) since the 18th century. They had considered a woman of Sadaebu(士大夫) who was good at virtue and painting to be Yeosa(女史). In the mid-19th century, the concept of Yeosa(女史) as artists had been expanded. Sadaebu(士大夫) had communicated with Yeosa(女史) through poetry or painting. Yeosa(女史) was applied to women of low social standing, such as Ginyeo(Courtesan), Sosil(Concubine), who were good at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Yeosa(女史) had become the appellation which had encompassed and represented Sihee(詩姬) · Sia(詩娥) · Gyoseo(校書).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Yeosa(女史) of Qing Dynasty and Japan had been depicted. It was the female painter of Qing Dynasty who had been active vigorously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female painter of Japan who had worked activel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Women of high social standing who excel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nd those who focused on women s education based on this ability, were called Yeosa(女史).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meaning of Yeosa(女史) had been changed in Korea. 『Bonjoyeosa(本朝女史)』 diversified the criteria for selecting Yeosa(女史), and described any special acts regardless of their status. It had expanded the category of Yeosa(女史), and tried to emulate Yeosa(女史) in the face of a national crisis. The 『Poetry Selection of Women of the Orient(東洋歷代女史詩選)』 contained 63 Chosun Yeosa(女史) and 140 of their poems, and women writers who excel in poetry regardless of their social status had been called Yeosa(女史). In this regard, we can see tha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figuration of Yeosa(女史) had been expanded beyond their status to women with extraordinary achievem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 virtue, art, learning, and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여사(女史)의 의미 및 여사(女士)와의 관계
3. 여사(女史)의 다양화 및 확장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숙(Kim, Kyung Sook). (2021).조선후기 한문학에 나타난 여사(女史)의 형상화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2 , 253-289

MLA

김경숙(Kim, Kyung Sook). "조선후기 한문학에 나타난 여사(女史)의 형상화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2.(2021): 253-2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