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석기시대 설치류 화석과 고환경

이용수 217

영문명
Paleolithic Rodent fossils and Paleoenvironment : from Maedun cave site in Jeongseon, Korea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박지효(Jihyo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43호, 5~48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에 위치한 매둔 동굴유적은 연세대학교박물관에 의해 2016년부터 현재까지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약 3m의 퇴적층에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이르는 다양한 유물과 동물화석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물화석 분석에서는 대형포유류 동물상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소형포유류 화석은 체계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매둔 동굴유적에서 수습된 소형포유류에 주목하였으며, 이 가운데 고환경 복원에 유용한 설치류 화석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학위논문에서는 구석기·신석기·청동기층 설치류 화석을 전반적으로 관찰하였으나 본 글에서는 2구획의 구석기층 출토 화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2구획 구석기층에서 확인된 설치류 화석은 총 2과 10속 13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뼈대수(NISP)를 토대로 한 최소마리수(MNI)는 약 34마리로 산출되었다. 세부 층위별로 나누어 보면 구석기 1층(P-1)에서는 2과 8속 10종(최소마리수 18마리), 구석기 2층(P-2)에서는 2과 7속 9종(최소마리수 16마리)의 설치류 화석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종적 구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설치류 종별 생태유형 및 한반도 내 설치류 화석 출토 유적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매둔 동굴 유적 구석기층의 설치류 동물상은 북한의 황주 청파대 동굴 및 한국의 제천 점말용굴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종 가운데 산쥐, 간단이빨쥐, 라티셉갈밭쥐 등을 통해 퇴적층 형성 당시 유적 주변이 현재보다 서늘하고 건조한 기후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특정한 서식환경에 대한 제약 없이 대부분의 환경에 잘 적응하는 등줄쥐, 비단털들쥐 등이 같이 출토하기 때문에 설치류 종적 구성은 ‘생태학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at analysis of paleolithic rodent fossils and paleoenvironment using fossils from Maedun cave site in Jeongseon, Korea. Excavation led by the Yonsei University Museum is still underway in Maedun cave site located at Nakdong-ri, Nam-myeon, Jeongseon-gun, Gangwon-do Province since 2016. A variety of relics were identified on about three-meter sedimentary layers Maedun cave site in which people had long inhabited and settled from the Paleolitic·Neolithic·Bronze Age to the modern time. In particular, a study on macro-mammal fauna was settled into shape but, unfortunately micro-mammal fauna were not systematically observed and further analyzed. In this light, this article analyzed rodent fossils good for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among micro-mammals gathered at this cave site. In spite of observing and analyzing all of rodent fossils unearthed from Paleolitic·Neolithic·Bronze Age layer in master’s monograph, I have observed rodent fossils excavedted from Paleolithic layer in ‘Second section’ closely. As a result, the number of rodent fossils at the Maedun cave site’s paleolithic level reveal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71. And that fossils were classified into 2 families 10 genera and 13 species. Also the Number of Identified Specimens(NISP) and the Minimum Number of Individuals(MNI)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The species composition of Paleolithic-1 layer turned out 2 familes 8 genera 10 species (MNI: 34 consisting of 18), and 2 familes 7 genera 9 species (MNI: 34 consisting of 16) in Paleolithic-2 layer. In order to comprehend composition of rodent fossils, each rodent’s ecological type and the excavtion list of fossils founded in the Korean Peninsula was organized. Maedun cave site’s rodent fauna was similar with Cheongpadae cave site(North Korea) and Jeommal cave site(South Korea). Furthermore, representative rodent fossils in the Paleolithic layer pertaining to the Quaternary-Pleistocene Period include Alticola, Pitymys simplicidens and Microtus ratticeps from which it can be said that there had been cold and dry weather in the time when sedimentary layers were formed. However,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species composition was reflected on ‘ecological diversity’ account for unearthing Apodemus and Eothenomys regulus which adapted themselves to any natural environment.

목차

Ⅰ. 머리말
Ⅱ. 설치류 화석 연구경향
Ⅲ. 정선 매둔 동굴유적
Ⅳ. 고환경 고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효(Jihyo Park). (2021).구석기시대 설치류 화석과 고환경. 한국구석기학보, (43), 5-48

MLA

박지효(Jihyo Park). "구석기시대 설치류 화석과 고환경." 한국구석기학보, .43(2021): 5-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