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금강중류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양상과 문화 성격

이용수 269

영문명
Site Forma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Paleolithic Site in the Middle Guem River Basin : Focus on the Nosan-ri Loc.2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오오타니 카오루(Kaoru OTANI)(大谷 薰)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43호, 71~10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산리 2지점은 금강 중류지역의 구석기유적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노산리 유적군의 하나이다. 2개의 조사지구(A, B-1)로 나누어 조사되었으며, 각 지구에서 석영과 혼펠스를 이용하여 만든 구석기 유물이 토양쐐기가 발달한 암갈색 찰흙층에서 출토되었다. 제4기 지질 연구와 연대측정을 통해 문화층을 포함한 유적 내 층위 형성과 연대에 대한 다양한 결과를 얻었다. 토층 분석과 연대측정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금강 중류 노산리 2지점 일대는 하안단구가 해발 30m 부근 약 60 ka BP 이전에 형성되었고, 이후 고토양층이 MIS2~3의 최정빙기 동안 약 16 ka yr BP 까지 형성이 계속되었다고 해석된다. 문화층에서 채취된 토양·숯시료를 대상으로 AMS 및 OSL 연대 측정한 결과, 약 35~17 ka yr BP의 연대값을 얻은 것으로 보아 구석기문화층의 형성 시기는 최종빙기 최성기(26~19 ka cal yr BP) 전후였음을 알 수 있다. 출토유물은 발굴조사에서 1,168점, 지표 107점, 시굴조사 28점이며, 총 1,303점의 후기구석기시대에 속하는 석기가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유물은 몸돌·격지·돌날·조각 등 석기제작 관련유물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슴베찌르개와 돌날, 좀돌날 제작 관련 자료가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석영·규암을 이용한 석기에서는 작은 긁개·홈날 등이 많으며, 응회암·혼펠스에서는 돌날을 몸체로 이용한 슴베찌르개·밀개 등의 연모가 많이 출토되어 돌감에 따라 석기의 용도가 구분되어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유적에서는 슴베찌르개와 좀돌날, 마제석부가 같은 지층에서 함께 출토되어 한반도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가운데에서 드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석기의 속성분석과 세부관찰을 실시한 후, 좀돌날몸돌과 슴베찌르개에 대해서는 형태분류를 시도하였다. 좀돌날몸돌은 때림면과 몸체 상태를 기준으로 나눌 수 있으며, 좀돌날 떼기 수법이 때림면 상태와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슴베찌르개는 손질부위와 몸체 축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몸체모양에 따라 제작방법에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마제석부는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신석기의 전환기에 등장하는 특징적인 석기로 알려져 있다. 노산리 2지점에서는 국부마제석부의 제작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자료가 확인되어 작업공정을 복원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국부마제석부를 포함해 슴베찌르개와 좀돌날 등 후기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석기들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인근 아시아지역과의 연관성을 찾아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Nosan-ri Paleolithic site Loc.2 is located nearby the Geum River, at Nosan-ri, Cheongju City(old Cheongwon County), Chunbuk Province, where many Paleolithic sites have been found. Since the first discovery in 2006, the Institute of Korean Prehistory carried out excavation on the site. The site was divided into two areas (A, B-1) and Paleolithic stone tools made of quartz and hornfels were excavated from the dark brown clay layer with developed soil wedges in each area. Through soil analysis and dating, fluvial terrace deposits in middle part of Keum River including Nosanri Loc.2 are distributed below ca 30 m asl and interpreted to be formed after 60ka. Formation ages of paleosols of in this site are converged into the MIS 2~MIS3 during the Last Glacial in Upper Paleolithic. Through dating for cultural layer by AMS and OSL on samples of paleosol and charcoal, several dating results were gathered about 35-17 ka yr BP. It indicating that the formation period of the Paleolithic cultural layer was around LGM. At the Locality 2, most of artifacts up to 1,168 pieces were excavated in the Upper Paleolithic cultural layers, while there were also found 28 pieces from test pits, and 107 pieces from the surface. Most of the assemblage is composed of flakes, debris, cores and blades, which are related to tool-production. As tools, there were found side-scrapers, end-scrapers, tanged-points and microblades. For raw material, it is observed that hornfels was mainly used, while tuff and shale were also utilized to produce blade tools and microblades. In addition to that, some quartz and quartzite were used for making pebble tools like choppers and chopping tools, and occasionally found used for small flake tools like scrapers and notched tools. Through stone tool observation and analysis by technological and typological attributions, microblade-cores and tanged-point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While tanged-points are classified by retouched part on proximal end and one side of edge of blade, microblade-cores can be classified with form of bottom and platform. In other words, it was found critical that manufacturing of microblade was based on preparing platform, whereas tanged-point production was highly dependable on original form of blade. Those comparison provide us very valuable data to compare with blade and microblade assemblages in the Korean peninsula, fundamentally. Moreover, there were also excavated an edge-ground stone axe from the test pit of B-1 area. This material is thought important for keen interest to estimate aspects of cultural transition from the Late Upper Paleolithic to the Initial Neolithic transition in Northeast Asia. In that perspective, not only will archaeological analysis at the Locality 2 of Nosan-ri Site be fundamental data about tool-manufacturing with application of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but also present us with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site structure changing around the Geum River.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 입지와 지리환경
Ⅲ. 유적 퇴적 과정과 형성 시기
Ⅳ. 노산리 2지점의 석기 양상과 문화 성격
Ⅴ. 주변지역의 후기구석기시대 석기군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오타니 카오루(Kaoru OTANI)(大谷 薰). (2021).금강중류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양상과 문화 성격. 한국구석기학보, (43), 71-106

MLA

오오타니 카오루(Kaoru OTANI)(大谷 薰). "금강중류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양상과 문화 성격." 한국구석기학보, .43(2021): 71-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