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적석목곽묘 묘사(墓祀)의 성격과 의미

이용수 594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emorial Service Relics’ Found Around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김은경(Kim Eun-kyu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12호, 89~11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그동안 고분제사 혹은 무덤제사라고 하는 소위 ‘제사·제의유구’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적석목곽묘의 주변에서 확인된 제사유구는 고분 축조 완료후 진행된 묘사(墓祀)로 해석할 수있고, 비교적 다양한 양상이 확인된다. 신라 적석목곽묘에서 진행된 묘사의 특징을 살펴보면 크게 3가지 유형이 관찰된다. 첫 번째는호석 주변에서 대호를 비롯하여 각종 토기류가 확인되고, 그 밖에 옹관묘와 말무덤이 확인되기도한다. 두 번째는 특정 고분에 해당되지 않지만 고분군 내 특정 구역에서 대호를 사용한 각종 묘사관련 유물이 확인된다. 또한 ‘석재구조물’이라고 불리는 방형·원형의 단독부장곽도 확인된다. 마지막으로는 주구에서 각종 토기류와 동물유체가 훼기된 상태로 매납된 것이 확인된다. 이러한 유형을 종합하여 적석목곽묘에서 진행된 묘사의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신라의 묘사는특수한 인물에 한하여 시행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러한 의례의 특징은 대호를 사용한 음식공헌의례라고 파악된다. 그간 의례용기는 소형의 특수 기종을 중심으로 파악되어 왔으나, 대호 역시단순한 저장용기가 아닌 의례용 용기, 그중에서도 음식공헌의례라는 특수한 용도의 저장용 토기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다만 대호를 사용하였지만 ‘원통형 구조물’과 결합된 경우는 음식공헌의례를위한 것이기 보다는 유물 자체가 벽사의 성격 혹은 주술적 성격을 가진 대용품으로 추정된다. 신라의 묘사는 기본적으로 조상제사로 볼 수 있다. 고대사회에서의 의례는 내재된 신분적 차등질서와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었기 때문에, 적석목곽묘에서 진행된 묘사는 의례주관집단이 정치적 지위의 정통성과 계승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정통성 확보 전략 중 하나는 선축된 고분에 연접하여 새로운 고분을 축조하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 묘사는 고분이 가지는 장소성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특정 집단의 사회적인 결속 혹은집단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살펴보면 각 고분에서 확인되는 묘사의 독창적인 특징들, 즉 원통형 구조물과 도치된 대호 부장유구, 단독부장곽 등은 곧 해당 고분의 축조집단 혹은 특정 정치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주는 표지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ree types are obser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memorial services held before the grave (墓祀) of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from Silla. First, around Hoseok (護石), many kinds of earthenware including great jars (Daeho; 大壺) are found. Also, a jar coffin tomb and horse tombs are observed, too. Second, inside the ancient tomb, many kinds of memorial service relics using Daeho and also square and round independent Grave goods burial compartment(副葬槨) are found. Lastly, in Jugu(周構), too, earthenware and animal bones are buried. To sum up what is written above, Silla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s Myoje is characterized as food ritual using Daeho. In addition, ‘the cylindrical structure’ is not for food ritual but the relic itself equipp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yeoksa(辟邪) or shamanism. Silla Myoje is basically an ancestral memorial service. In ancient society, rituals were the means of securing the internalized order of graded social status and political justificati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yoje of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was used as a strategy that the political families or the groups holding the ritual employed to maintain the legitimacy of their social status and relations of succession.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분 축조 후 진행된 제사
Ⅲ. 적석목곽묘 묘사(墓祀) 관련 유구·유물 검토
Ⅳ. 적석목곽묘 묘사(墓祀)의 성격과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Kim Eun-kyung). (2021).신라 적석목곽묘 묘사(墓祀)의 성격과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112), 89-117

MLA

김은경(Kim Eun-kyung). "신라 적석목곽묘 묘사(墓祀)의 성격과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112(2021): 89-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