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高句麗 都城制 再考

이용수 594

영문명
A Review on the general belief of Koguryo’s Capital System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양시은(Yang, Si Eu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12호, 55~8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우리 학계에서 ‘고구려는 건국 초부터 평지성과 산성을 짝으로 한 도성체제를 갖추었다’라는 통설(通說)이 자리하게 된 경위를 통사적으로 살피고, 최근의 고고학 조사 성과와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고구려 연구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인 도성제는 고구려 유적에 대한 고고학 조사가 시작된 일제강점기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세키노 다다시가 1914년도 『사학잡지』에 평양 지역에서의 조사 경험과 『주서』의 기록을 바탕으로 고구려의 평양 도성은 왕궁이 있는 평지성(안학궁)과 배후의 산성(대성산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국내 도성 역시 평지의 통구성(국내성)과 적이 쳐들어왔을 때 사용하는 산성자산성으로 구성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 논의의 시작이었다. 세키노의 주장은 이후 북한과 중국을 거쳐 국내 학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중국에서는 고구려 건국 초기부터 평지성과 산성이 결합된 것으로 인식되면서, 졸본 도성은 오녀산성과 하고성자토성, 국내 도성은 국내성과 산성자산성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견해가 통설이 되었다. 북한에서도 『주서』의 기록을 근거로 대성산성과 안학궁이 전기 평양성을 구성하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통설로 자리 잡았는데, 안학궁의 조성 연대에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주장은 계속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개별 왕성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어느 정도 진행된 지금에 와서는 기존의 통설을 뒷받침하던 근거의 상당수가 사실이 아님이 확인되었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조사 내용만을 놓고본다면, 고구려의 도성이 평지성과 방어용 산성으로 구성되었다는 기존의 견해는 적어도 국내성이축조되는 4세기 이후에나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일부에서는 전기 평양성마저도 대성산성만왕성으로 사용되었고, 평지에는 별도의 성곽이 없었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제는 고고 자료를 바탕으로 고구려 도성 구조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함께 통설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논의가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how the general belief has been established that Koguryo has established a capital system of the combination of a mountain fortress and a flatland fortress since the beginning of the foundation“, and critically examine it based on recent archaeological research. The discussion on the capital system began with Tadashi Sekino’s paper in 1914, which was based on his research experience in Pyongyang and the records of ‘Book of Zhou(周書)’. He claimed that Guknae capital city was also composed of a flatland fortress and an emergency mountain fortress, which was based on the Pyongyang capital city consisting of the royal palace and the mountain fortress behind it. Sekino s clai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outh Korean academia through North Korea and China. In China, it was widely believed that flatland fortress and mountain fortress were combined since the foundation of Koguryo, and the view that the first capital city of Koguryo, Jolbon(卒本), consisted of Wunu Mountain Fortress(五女山城) and Xiaguchengzi Earthen Wall(下古城子土城), while the second capital city, Guknae(國內), consisted of Guonei Stone Wall(國內城) and Wandu Mountain Fortress(丸都山城). In North Korea, it has been widely believed that Daeseong Mountain Fortress(大城山城) and Anhak Palace(安鶴宮) constituted the former Pyongyang capital city based on the records of ‘Book of Zhou’, despite the controversy over the date of the establishment of Anhak Palace. However, after the excavation of capital city’s sites were conducted, it was revealed that much of the evidence supporting the existing theory was not true. Judging from the results of archaeological research so far, the existing view that the capital city of Koguryo was composed of a flatland fortress and a defensive mountain fortress could be applied at least after the 4th century when Guonei Stone Wall was built. In addition, some researchers have raised the possibility that only Daesung Mountain Fortress was used as a royal castle in the early Pyongyang capital city, and that there were no separate royal palace on the plain. It is now time for a detailed review of the structure of Koguryo s capital city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and various discussions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wisdom.

목차

Ⅰ. 머리말
Ⅱ. 도성(都城), 도읍(都邑), 왕도(王都)
Ⅲ. 고구려 도성제에 대한 ‘통설’의 형성
Ⅳ. 고구려 도성제 재고(再考)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시은(Yang, Si Eun). (2021).高句麗 都城制 再考. 한국상고사학보, (112), 55-87

MLA

양시은(Yang, Si Eun). "高句麗 都城制 再考." 한국상고사학보, .112(2021): 55-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