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산소, 저항성, 균형 운동 프로그램이 허약 여성노인의 골격근 지수, 기능적 체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4
- 영문명
- Effects of Aerobic, Resistance, Balance Exercise Program on Skeletal Muscle Index, Functional Fitn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rail Elderly Women.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강설중(Seol-Jung Kang) 김종휴(Joung-Hyu Kim) 고광준(Kwang-Jun Ko)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7권 제4호, 9~2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robic, resistance, balance exercise program on skeletal muscle index, functional fitn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rail elderly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18 frail elderly women(exercise group, n=9; control group, n=9). The exercise program performed the aerobic ex-ercise(20 minutes), resistance exercise(20 minutes), and balance exercise(10 minutes) a day, 3 days per week, for 12 weeks.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fitnes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SF-36) were measured and analyzed at pre- and post- ex-ercise program for verifying the exercise effectiveness. [RESULTS] In body composition body weight(p<.01), and % fat(p<.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ut skeletal muscle mass and skeletal muscle index were not changed. In functional fitness, VO2max(p<.01), grip strength(p<.001), arm curl(p<.001), chair sit to stand(p<.001), back scratch(p<.05), and chair sit & reach(p<.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imed up & go(p<.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F-36, physical function-ing(p<.01), body pain(p<.001), general health(p<.001), role-emotional(p<.05), and mental health(p<.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bination of aerobic, resistance and balance exercise program showed the beneficial effects on functional fitness and SF-36 in frail elderly women.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바디롤러 운동과 요가의 복합처치가 중년여성 요통환자의 체력, 척추 변인 및 통증자각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핸드사이클 크랭킹 시 부하변화에 따른 운동학적 패턴
- 4만곡 형태의 특발성 척추옆굽음증 환자의 슈로스 운동효과: 증례보고
- 목, 허리 만성통증에 따른 자세, 균형, 그리고 족저압과의 상관분석
- 로봇기반 승마 시뮬레이터가 노인의 유산소성 운동과 심리적 요인인에 미치는 영향
- 다양한 형태의 운동에 따른 족저압 변화의 체계적 고찰
- 유산소, 저항성, 균형 운동 프로그램이 허약 여성노인의 골격근 지수, 기능적 체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슬개대퇴통증증후군 환자의 체중부하운동 유형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