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래피티 아트(Graffiti Art) 설계를 통한 주거안전 인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1

영문명
A Study on the Change of Residential Safety Recognition by Graffiti Art Design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이선주(Lee Sun Joo) 강소영(Kang So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17권 제1호, 177~19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도시환경 개선사업에 활용될 수 있는 공공디자인으로서의 그래피티 아트를 낙후된 지역에 적용한 후, 주거안전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 충북지역의 캠퍼스 주변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거안전 인식에 대한 온라인 조사를 먼저 실시하였고, 이후 캠퍼스 주변 낙후지역에 그래피티 아트를 적용하여 같은 해 9월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전·사후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총 389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주거안전성 변인에는 무질서, 범죄두려움, 집합효율성 그리고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이 활용되었고, 그래피티 아트 적용 전·사후 각각의 변인의 변화를 확인하면서, 조사대상자의 성별과 주거유형에 따른 인식 차이도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그래피티를 적용한 후 전체 응답에서 범죄두려움과 무질서에 대한 인식이 유의하게 개선된 반면, 집합효율성과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차이를 확인한 결과에서 여학생들의 경우 집합효율성을 제외한 범죄두려움, 무질서,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 모두에서 유의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나, 남학생들은 모든 요인에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지역환경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남성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다수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거형태에 따른 차이에서 캠퍼스 주변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범죄두려움과 무질서에 대한 인식이 변화한 반면, 기숙사에 생활하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들에서 빈번하게 검증된 CPTED 전략이 기숙사가 아닌 지역 내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더욱 민감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그래피티 아트를 적용한 물리적 환경개선은 집합효율성이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 등 주거안전에 대한 인식에 직접적인 변화를 유도하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환경개선을 통해 범죄두려움, 무질서 수준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범죄예방 분야에서 공공디자인으로서 그래피티 아트의 가치를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residential safety recognition after applying the graffiti art to depressed region that could be utilized in improvement plan for urban environment. For the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2 surveys - before the graffiti, 3 months after the graffiti,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around the campus, and used response from 389 students. Also, the study used disorder, fear of crime, collective efficacy and perception of policing as elements to examine the changes of residential safety, and also analyzed the difference by gender and residence type of respondents. As the result, the study confirmed the recognition on fear of crime and disorder ha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graffiti.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to the recognition of collective efficacy and perception of policing. Especially, female students had significant change on recognition of fear of crime, disorder and perception of policing, whereas male students had no changes in all elements. In other words, following the conclusions from previous studies, female respondents showed more sensitive reaction to local environment compared to male respondents. Furthermore, as for the difference in residence type, students who resided around campus had change on recognition of fear of crime and disorder, whereas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had no significant changes on all elements. Based on this result, the study confirmed local environment improvement like applying graffiti art is effective on changing the recognition on crime and residential safe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 결과 및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주(Lee Sun Joo),강소영(Kang So Young). (2021).그래피티 아트(Graffiti Art) 설계를 통한 주거안전 인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7 (1), 177-192

MLA

이선주(Lee Sun Joo),강소영(Kang So Young). "그래피티 아트(Graffiti Art) 설계를 통한 주거안전 인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7.1(2021): 177-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