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製造物責任訴訟上 一應의 推定

이용수 1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민사소송법학회
저자명
李圭鎬
간행물 정보
『민사소송』제6권, 147~207쪽, 전체 61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8.30
10,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製造物責任法은 製造物責任과 관련하여 無過失責任(no-fault liability) 내지 엄격책임(strict liability)의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이 경우에 피해자는 製造業者의 過失이라는 주관적 요건을 입증할 필요가 없을 따름이고, 客觀的 要件으로서 ① 製造物에 결함이 있었다는 사실, ② 피해자에게 순해가 발생한 사실 및 ③ 그 결함과 그 손해와의 인과관계를 입증하여야 한다. 하지만, 제조물책임법의 시행이후에도 기존에 확립된 입증책임의 분배에 관한 이론이 대체로 그 틀을 유지하면서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 증명대상에 변화가 있을 따름이다. 제조물책임소송상 입증책임을 분배함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제품사고의 태양, 결함의 태양, 제조물의 종류, 증거의 편재상황 등 갖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입증책임분배의 수정, 증명도의 경감 및 새로운 증명방법의 채택을 시도하는 것이 피해자의 구제측면에서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것으로 예견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역시 기존에 논의된 입증책임의 경감방법 중 그 적용요건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 중 하나가 일응의 추정이다. 왜냐 하면 일응의 추정은 영미법상 res ipas loquitur(과실추정칙 내지 과실추론칙)에 그 연원을 두고 있는데서 알수 있듯이 과실책임주의하에서 발전한 이론이기에 무과실책임주의를 채택한 제조물책임법과는 모순되는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미국법률협회(American Law Institute)가 1998년에 새로 편찬한 제3차 불법행위법재록 제조물책임편 제3조[Restatement(Third)of Torts; Products Liability 3 (1998)]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본고는 제조물책임법 영역에서 res ipas loquitru를 재구성한 제3차 불법행위법재록 제조물책임편 제3조를 중심으로 제조물의 결함, 그 결함의 존재시기 및 그 결함과 피해자의 순해와의 인과관계를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대법원 2000.2. 25 선고 98다15934판결에 따르면 소비자측에서 ①텔레비전폭발로 인한 화재사고가 제조업자의 배타적인 지배하에 있는 영역에서 발생한 것이고 ② 그러한 사고가 어떤 자의 과실 없이는 통상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사정을 입증하면 제조업자측에서 ③ 그 사고가 제품의 결함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것임을 입증하지 못하는 이상. 그 제품의 결함과 인과관계를 추정하였다. 피고인 제조업자의 간접반증을 통하여 입증하여야 하는 바는 그 사고가 제품의 결함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것이란 점이다. 이 부분은 무과실책임주의를 채택한 제조물책임법이 시행된 현재시점에서도 그대로 적용할수 있다. 하지만 소비자측에서 ①과 ②의 요건을 입증하면 제조물의 결함이 아니라 피고의 과실을 일응 추정하여야 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다. 왜냐하면 그 적용요건에서 어떤 자의 과실 없이는 통상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정을 입증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술한 ①과 ②의 요건을 비롯하여 ③원고측의 자발적 행위로 인한 과실의 경합이 없을것 및 ④ 그 사고의 내용을 해명할 수 있는 증거가 원고보다는 피고에게 더 가까운 거리에 있을 것의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피고의 과실을 일응 추정하는 것이 res ipsa loquitru법리이고 이 법리는 엄격책임주의 또는 무과실책임주의를 채택한 제조물책임법 영역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는 것이 미국내 다수법원이 취한 견해란 점에서도 제조물책임법이 시행된 현시점에 위 판결에서의 결함의 추정을 위한 요건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필자는 전술한 제3차 불법행위법재록 제3조를 참작하여 제조물의 결함을 일응 추정하기 위한 요건을 다음과 같이 재구성하였다. 그에 따를 때 원고는 제조물의 결함을 특정하지 아니하더라도 ① 원고에게 손해를 초래한 사고가 제조물 결함의 결과로서 통상 발생하는 유형이고 ② 그 사고가 구체적인 사건에서 공급시에 존재한 제조물결함 이외의 원인만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면, 제조업자측에서 ③ 그 사고가 제품의 결함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것임을 입증하지 못하는 이상, 공급시의 제조물결함을 일응 추정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立證責任의 一般論
Ⅲ. 製造物責任訴訟上 一應의 推定
Ⅳ. 우리나라 判例의 檢討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圭鎬. (2002).製造物責任訴訟上 一應의 推定. 민사소송, 6 , 147-207

MLA

李圭鎬. "製造物責任訴訟上 一應의 推定." 민사소송, 6.(2002): 147-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