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개혁

이용수 528

영문명
발행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저자명
김태형(Tae-Hyung KIM)
간행물 정보
『가톨릭사상』제61호, 185~241쪽, 전체 5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1세기 말경에서부터 클뤼니와 그레고리오 7세의 개혁에서부터 준비된 중세교회와 그리스도교 문화의 찬란한 전성기가 시작되었으며, 그것은 약 150년간 지속되었다. 힘든 투쟁의 결과로 영적 권력이 세속 권력에서 독립을 획득하였고, 황제권에 대한 교황권의 우위를 확실하게 획득하였다. 중앙집권화와 통일화 과정에 있어서 보편교회는 게르만 봉건규칙인 성직록제도와 사유교회제도를 더 이상 관용할 수 없었고 교회 활동의 온전한 자유를 요구하였다. 교황권은 과거에 일찍이 없었던 교회내적권위와 대외 통치적 세력이 최고에 이르렀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Civitas Dei)”의 육화된 모습으로 여겨지는 교회는 개별적이고 공적인 모든 생활을 지배하였고, 또 드높은 문화 전반의 지도자임을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고대의 정신적 바탕 위에서 교회 규율과 가르침의 쇄신으로 말미암아 재속 성직자들의 질적 향상뿐만이 아니라 수도 생활의 쇄신도 현저하게 두드러지게 되었다. 그레고리오 개혁이라고 부르는 개혁 운동은 단순히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이 주도한 개혁만이 아니라 그의 개혁적인 생각에 부합하는 일련의 개혁들을 우리는 그레고리오 개혁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레고리오 개혁자들이 주장했던 개혁의 내용들은 먼저 성직자들의 삶과 연관이 있었다. 이미 당시에 널리 퍼져 있었던 시모니아와 니콜라우스주의에 반대해서 사제 독신제를 주장하였고, 일반적으로 성직자들에게 공동의 삶을 살아가도록 제의하였다. 재속사제를 수도사제의 형태로 바꾸려는 시도였다. 그레고리오 개혁자들이 사제 독신제를 도입하는 핵심적인 동기는 교회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례적인 순수함을 보호하기 위한 생각에서, 그리고 교회공동체와 혼인을 한 성직자의 개념을 드러내기 위해서였다. 다음으로 그레고리오 개혁자들에게서 추진되었던 개혁의 내용은 교황 선출에서 평신도의 역할을 제외시키는 것이었다. 특별히 카노사와 함께 교회(Sacerdotium)와 국가(Regnum)사이의 대립이 시작되었으며, 수 세기에 걸쳐 내려오는 전통인 국가와 교회 사이의 결속을 갈라놓았다. 이 투쟁을 위해 세속 권력에 대한 영적 권한의 우위성을 주장하였으며,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은 신적인 기원을 가지는 교황의 권력에 황제의 힘의 악마적 특징과 그 기원을 대비시켰다. 국가의 힘은 인간에 대한 인간의 지배 욕구와 오만함의 열매이다.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하여 그레고리오 7세의 핵심적인 생각은 신뢰를 넘어 로마교황청에 대한 복종이었다. 이러한 생각에 기초하여 그레고리오 개혁 운동은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드러내었다. 먼저 교회와 국가 사이의 분리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국가를 신성시하면서 신정정치를 추구하던 고대의 관습에서부터 벗어나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그레고리오 개혁 운동과 더불어 시작된 새로운 로마 중심주의가 견고하게 자리를 잡게 된다. 이것은 그레고리오 개혁 운동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개념이었다. 다음으로 그레고리오 개혁 운동을 통해서 드러나는 또 다른 결과는 교회 삶의 성직자화였다. 그레고리오 개혁 운동은 사제직과 평신도의 구분을 강조했다. 그것은 사제 독신제의 강화와 서임권 투쟁에서만이 아니라 또한 거룩한 그릇들을 만지는 것에 대해 평신도와 수도자들에게 금지하는 적은 중요성을 가지는 문제 안에서도 확인할 수가 있다.

영문 초록

Verso la fine dell’11° secolo iniziò un periodo di splendore della Chiesa e della cultura medioevale che, preparato dalle riforme cluniacense e gregoriana, durò circa 150 anni. A prezzo di dure lotte si ottenne l’indipendenza del poter spirituale da quello temporale, assicurando cosi la preminenza del sacerdotium sull’imperium. La Chiesa universale, nell’aspirazione verso un governo più centrale e uniforme, non si adattava più al diritto germanico feudale e al sistema delle Chese proprie allora vigente, ed esigeva piena libertà d’azione. Tanto nella vita interna della Chiesa come nei rapporti politici con gli stati, il papato raggiunse un apogeo di potenza mai ottenuto in passato. La Chiesa, considerata come l’incarnazione della ‘Civitas Dei’ d’Agostino, dominava l’intera vita privata e pubblica, quale guida incontrastata in ogni campo della cultura superiore. Ripristinando la disciplina ecclesiastica sulla base di quella antica, non si ottenne solo un miglioramento della vita monastica in forme sempre nuove. Come uno degli obiettivi principali della riforma gregoriana è la riforma della vita clericale più della lotta per investiture. Essi volevano attuare questa riforma sulla richiesta del celibato e il divieto della simonia con un invito al clero regolare, alla manieradei monaci. I principali motivi che i gregoriani hanno condotto all’induzione del celibato in quell’epoca, la preoccupazione per il patrimonio ecclesiastico poi l’idea della purità rituale e in terzo luogo il concetto del sacerdote come sposo della sua comunità ecclesiale, dunque anche della sua parrocchia. Con Canossa inizia l’antagonismo tra Sacerdotium e Regnum, un conflitto durato durante tutto il Medievo e oltre. Per questa lotta Gregorio VII ha affermava dell’ origine divina del potere proprio. La sede Apostolica per volontà di Dio ha potestà di giudicare sullo spirituale, a maggior ragione sul temporale. Alla potestà papale di origine divina, Gregorio VII contrappone l’origine e il carattere diabolico del potere regio o imperiale. Il potere statale è frutto della superbia e del desiderio di dominio dell’uomo sull’uomo. La parola chiave per Gregorio VII, oltre alla fede, è l’obbedienza al romano pontefice. Quindi con quest idee la riforma gregoriana ha risultato come sequente. un risultato non secondario fu allora la desacralizzazione della regalità, cioè dell’ufficio del re. il processo di separazione tra stato e Chiesa era ormai messo in moto. un secondo risultato constatabile, gia ai tempi di Gregorio VII, è un nuovo centralismo romano, come prima non c’era. un terzo risultato èun’ampia clericalizzazione della vita ecclesiale, in quanto la riforma gregoriana accentuava la distinzione tra clero e laicato, che si verificò non solo nella discussione delle investiture, del celibato clericale, ma anche in questioni di minore importanza come la proibizione alle monache e ai laici di toccare I vasi sacri.

목차

서론
Ⅰ. 그레고리오 개혁의 첫 번째 단계
Ⅱ.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개혁의 시작
Ⅲ. 그레고리오 개혁의 두 번째 단계: 교회(Sacerdotium)와 국가(Regnum)사이의 대립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형(Tae-Hyung KIM). (2020).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개혁. 가톨릭사상, (61), 185-241

MLA

김태형(Tae-Hyung KIM). "그레고리오 7세 교황의 개혁." 가톨릭사상, .61(2020): 185-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