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1세기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 (Data Literacy) 분석

이용수 257

영문명
Analysis of Data Literacy in the Core Curriculum to Improve Students 4C Skill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영(Kim, Hye You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4권 제6호, 147~15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21세기 디지털 정보시대에 데이터에 근거한 의사결정 능력은 무엇보다 중요한 능력으로 간주된다. 직장에서의 성공 여부는 학부 전공보다는 비판적 사고, 분명한의사소통능력, 복잡한 문제해결 능력 등으로 좌우되며 이러한 능력은 데이터 리터러시를 통해서 함양된다. 이 연구는 해외 대학교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진행하고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교육내용을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21세기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를분석하였다. 리터러시는 개인이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고, 지식과 잠재력을 계발하며, 지역사회를 비롯해 더 넓은사회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학습을 포함한다. 데이터 리터러시는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근거 있는 적절한 판단과 결정을 할 수 있는 문제해결 능력이며, 비판적사고를 통해 지식을 창출하는 근간이다. 교양기초교육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사고를 포함한 사고의 확장과 지식 창출을 통해 21세기 핵심 역량을 제고한다. 둘째, 문·이과 전공과 관계없이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통계 지식이 필요하고 파이썬이나 엑셀과 같은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학습내용이 매우 실용적이고 구체적이며 흥미롭다. 셋째, 교양의 기초교육영역에 개설된 컴퓨팅적 사고, 기초과학, 대학수학, 통계학 등의 과목별 교과목표 범위 내에서 개인적, 사회적, 과학적 맥락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 방식이 가능하다. 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 사용 의존도가 높아지는 사회에서 인재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능력이고왜곡된 데이터가 만들어낸 가짜 뉴스를 구분할 수 있는 민주시민의 기본 역량이다. 이것이 바로 대학의교양기초교육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에 관심을 두어야 하는 이유이다.

영문 초록

When the volume of available data continues to increase at an exponential rate as the IOT(internet of things) grows, the increased desire people, including employers for data-driven decision making. To achieve long-term career success, 4C skills are more important to an individual’s success at the company than his or her undergraduate majo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data literacy educatio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op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data literacy in the core curriculum to improve students 4C skill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Literacy involves a continuum of learning in enabling individuals to achieve their goals, to develop their knowledge and potential, and to participate fully in their community and wider society. Data literacy is the ability to look at real-world data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make well-founded judgments and decisions, and is the basis for constructing knowledge through critical thinking. Data literacy in the core curriculum should firstly improve the 4C skills by expanding thinking, including critical thinking, and constructing knowledge. Second, regardless of the major or field of study, basic statistics is needed for data analysis, and tools such as Python and Excel are used. Nevertheless, the contents of learning are very practical, specific and interesting. Third, a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s possible by using real-world data from personal, social and scientific contexts within computational thinking, basic science, mathematics, and statistics in the core curriculum. Data literacy is an essential ability for any student in such a data-rich society, and a citizen’s ability to distinguish fake news generated by distorted data is becoming crucial. This is why we should be interested in data literacy in the core curriculum.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영(Kim, Hye Young). (2020).21세기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 (Data Literacy) 분석. 교양교육연구, 14 (6), 147-159

MLA

김혜영(Kim, Hye Young). "21세기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 (Data Literacy) 분석." 교양교육연구, 14.6(2020): 147-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