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탐라복(耽羅鰒)과 “탐라해(耽羅海)”

이용수 67

영문명
“Tamna Sea” and Tamna Abalone : A Perspective of “Ocepolitics”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전경수(Chun Kyung-soo)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50권, 79~118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도. 이 단어는 제주라는 단어에 도(島) 즉 섬을 말하는 단어가 접목된 것이다. 제주라는 단어는 고려가 탐라를 정복한(서기 1105년) 시기 이후 13세기 중반에 고려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 단어의 뜻은 “물 건너 있는 땅”이다. 이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섬에 살고 있는 사람의 입장이 아니라 육지 즉 한반도에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부를 수 있는 단어다. “제주”란 단어의 의미론적 풀이를 제시하는 것이 허락한다면, 그것은 식민지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이 섬에 살고 있는 사람이 어떻게 그 단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탐라의 정체성을 회복하지 않는 한, 이 섬의 삶의 기반은 제대로 확립될 수 없다. 탐라라는 단어가 문화독립의 기반임을 명심하고자 한다. 본고는 탐라인식을 발견하는 작업이다. 그 인식을 부정할 수 없는 물건이 일본의 나라에 있는 평성궁에서 출토되었다. 1963년, 발굴된 목간들 중에서 “耽羅鰒”이란 단어가 등장하였다. 이 섬에서 수입되었던 전복을 궁에 진상하는 물품의 목록으로 지정되었던 것이 탐라복이었다. 서기 745년의 연도가 적혀 있는 탐라복에 관한 기록이었다. 일본의 다른 고문서에도 탐라복의 단어는 등장한다. 목적은 동일한 것이었다. 일본의 황실에서 가장 중요한 진상품목으로서 자리를 잡았던 탐라복이었다. 그것이 13세기가 되면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결과가 있으면 원인이 있는 법. 본고는 그 원인을 밝혀보는 최초의 논문이다. 탐라가 고려에 정복당한 후, 그리고 몽골이 고려를 점령한 후, 이 섬은 군마를 양성하는 목장으로 전환 하였다. 국가라는 조직의 명령으로 이루어진 목장 조성으로 인하여 탐라의 원시림이 완벽하게 파괴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목장은 기본적으로 초지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탐라의 원시림은 제주의 초지로 전환되었다고 말할 수 있고, 현재 우리들은 그 현상을 목도하고 있다. 토양생태학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원시림의 토양과 초지의 토양이 기본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 삼림하의 토양과 초지하의 토양은 토양을 구성하는 토양의 기본적인 구성물인 토양입자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초점은 부식된 나뭇잎에 있다. 부식된 나뭇잎으로 구성된 부식토는 粒團(떼알, aggregat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서 초지의 토양은 대부분 單粒(홑알)으로 구성된 토양이다. 떼알의 토양은 토양의 알갱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마련이고, 이 공간이 물과 영양분을 저장하는 창고의 역할을 한다. 초지하에서는 삼림하에서 가능한 부식토 형성이 미약할 수밖에 없다. 현재 이 섬의 모든 하천은 거의 건천의 모양이다. 상류가 전부 초지이기 때문에, 초지의 토양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결과로 일어난 것이 건천이다. 원시림으로 구성된 섬과 한라산의 산록은 풍부한 영양분과 물을 저장하는 능력을 갖고 있었다. 목장화의 과정에서 한라산 산록과 이 섬의 토양은 물과 영양분을 저장할 수 있는 창고를 강탈당한 셈이다. 그 결과 하천에는 물이 흐르지 않고, 바다로 흘러들어가야할 영양분이 사라진 것이다. 그 마지막이 결과로 나타난 현상이 탐라복의 멸종이라고 생각한다. 지금 지구는 지구온난화로 예상불가능의 환경변화를 경험하기 시작하였다. 이 섬의 원시림을 회복하는 것은 탐라복이 돌아올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지구환경변화와 온난화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 탐라복이 회복되어 탐라해를 거쳐서 교역의 장을 불러올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탐라인식의 회복이 그 첫걸음이다. 탐라해의 이름도 지어놓고, 탐라복이 돌아올 수 있는 길을 여는 것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다.

영문 초록

The word of Jejudo does literally and semantically mean an island belong to the Korean peninsula. It was coined by Koreans when the island was occupied at AD1105 by Koryo dynasty and lost her sovereignty and became a colony of Koryo. The word of Jejudo therefore means a colony. I dare to declare that the nature of this island should be viewed as an island surrounded by sea not as a part of colony belong to the peninsula. From the history around this island, Tamna which is a legacy of the old and independent state must be considered as a unique island in terms of identity. The uniqueness of this island can be captured by a part of historical document like Nihon-Shoki and remnant in Japan. One never forget the fact that a myth on this island tells us a mythical connection with Japan as three ladies sailed from Japan became wives of gentlemen in this island. Historical and mythological connection between Tamna and Japan . Now we have a very unique historical document called as Mokkan(wooden slip 木簡) inscribed “Tamna Abalone”(耽羅鰒) excavated in 1963 at Fujiwara palace in Nara city, Japan. The wooden tablet carries an interesting information of Tamna Abalone offered from Awanokuni(Chiba Prefecture at present) to the palace in AD745. How it comes to Japan? I am sure that there is no doubt to designate a trade between Tamna and Japan the trade route transported a bunch of abalone from Tamna. There wasn’t even a single case of this from Korean peninsula. Trade through sea tells somehow us the nature and identity of Tamna state and the sea transporting Tamna Abalone means something to the East Asian History. I like to call the sea as Tamna Sea because of Tamna Abalone in history. Lost history of Tamna state should be recovered with this matter of sea trade with Japan. Since the early 13thcentury, the word of Tamna Abalonein Japanese history disappeared. I like to challenge to explain this phenomenon by means of sudden environmental change of the island. The island was developed for the military ranch for raising horses by Koryo government as well as Mongol invasion to Koryo. The virgin forest of the island was cut down and transformed into the wide grassland. The next stage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was automatically occurred in the land of the island. The virgin forest would theoretically carry relatively quantity of water for the aggregate of the soil while the grass land should be functionally less active for incubating large amount of water. At presen ttime, there are several rivers and creeks with nearly no running water in this island. This must be the result of complete logging the virgin forest of the island. Mountain-river-sea route must be the channel for nurturing the sea because organic nutrients from the land and mountain following through the river to the sea. Disappearing the virgin forest in the island for the military ranch resulted into malnutrition of the sea. This causes ex termination of the Tamna Abalone in the island. Sea-centered perspective will save this island. I like to suggest another word for this perspective as Oceopolitics instead of Geopolitics from now on.

목차

Ⅰ. 서언: 海洋觀을 수정하라!
Ⅱ. “耽羅海”와 耽羅鰒
Ⅲ. 山-川-海와 미시생태학
Ⅳ. 결어: “海政學”(“Oceopolitics”)의 산실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경수(Chun Kyung-soo). (2018).탐라복(耽羅鰒)과 “탐라해(耽羅海)”. 제주도연구, 50 , 79-118

MLA

전경수(Chun Kyung-soo). "탐라복(耽羅鰒)과 “탐라해(耽羅海)”." 제주도연구, 50.(2018): 79-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