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초기 제주 통치 체제 고찰

이용수 147

영문명
A Study on Jeju regional government system in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오수정(Oh Su-jung)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50권, 257~28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의 군현제도에 편입하기 위해 제주를 인식했던 주요 요인은 馬政과 土官세력 懷柔였다. 제주에 수령을 파견하여 가장 먼저 시행한 것은 마정의 최고 관리인이자 지역의 토착세력이었던 토관에 대한 관리방안과 해체방안으로서 星主·王子職을 변경·해체하고 奉足삭감, 京在所 규찰 등 50여년에 걸쳐 이루어졌다. 또한 제주도민 중 牛馬 盜殺과 牛馬皮를 팔아 생계를 유지했던 사람들을 대거 평안도로 분치시키고 있어 이 역시 토관세력들의 지휘권을 약화 시기는 요인이 되었다. 군사적으로는 마정과 군사적 제도개편을 통해 關防시설이 구축된다. 토관 중심의 마장 관리를 牧使의 관리 하에 편입되면서 養馬를 공부의 대상으로 산정하는 등 체계적인 통치구조가 갖추어진다. 특히 세종대에는 왜구의 침입이 빈번해짐에 따라 제주가 지정학적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왜구 침입에 대비한 軍籍 작성, 밭담 정비, 토관들에 대한 軍丁의 改定 등이 이루어졌다. 사회적으로는 鄕校 설치와 漢拏山神祭 거행 등 제주도민들을 유교적 정치질서 속에 편입시키고 있다. 그 외에 조세제도 개편과 함께 토지측량작업, 조세징수에 대한 계획이 세워진다. 이런 결과를 볼 때, 조선건국에서 세종대까지 59년 동안 제주는 토관세력의 쇠퇴와 약화, 마정을 수령에 의한 진상 국마로서 관리되면서 제주는 조선의 군현체제 안에 포함되었다.

영문 초록

Chosun s degree of recognition in incorporating Jeju to the nation s system of counties and prefectures was in placating the faction of Horse supervision and Local supervision. The first thing the dispatched regional administrator did was to manage and dismantle Toghan(土官), who was the top custodian and the regional powerhouse. The process of altering and dissolving the title of Sungju-Prince, pay cuts, supervision and management by the KyungJaeso(京在所) was done over 50 years. Redistribution of people who made their living killing horses and cows and selling their hides to Pyongan province also served as a cause in weakening the influence of Toghan(土官) In the context of the military, the management of horses and the overhaul of defense policies served as the basis for national defense capabilities. The incorporation of horse rearing centered around Toghan into the hands of the Local government dispatched from the federal government served to solidify a structured governance which included, for instance, taxing the horse rearing. The geographical importance of Jeju was emphasized during the period of frequent invasions by Waegu(倭寇) in the King Sejong the Great era, which In response, fueled the formation of a military registry, the maintenance of Field Wall(밭담), and the reshuffling of Toghan as military personnel. Socially, this caused the incorporation of the citizens of Jeju to Confucianism evident by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and people paying respects to the god of Halla Mountain. Measurement of lands and plans for taxes were established as well. In conclusion, Jeju became a part of Chosun through the weakening power of Toghan, management of horse rearing by a local administrator(守令) as a mean of offering the federal government a local product during the 59 years stretched from the founding of Chosun and the era of the King Sejong the Great era.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시대 제주지방 편입 배경
Ⅲ. 조선 초기 제주통치 현황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수정(Oh Su-jung). (2018).조선 초기 제주 통치 체제 고찰. 제주도연구, 50 , 257-284

MLA

오수정(Oh Su-jung). "조선 초기 제주 통치 체제 고찰." 제주도연구, 50.(2018): 257-2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