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본 제주의 유목문화

이용수 238

영문명
A Study on Nomad Culture of Jeju Island by Confucian Scholars` Perspectives in Chosen Dynasty : Focus on Literature Records of the Chosen Period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박원길(Park Won-kil)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48권, 73~136쪽, 전체 6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10,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탐라는 역사적으로 탐라의 고유문화 위에 대몽골(원)제국의 유목문화, 그리고 조선의 주자학적 문화가 덧씌워진 곳이다. 탐라교유의 문화나 몽골문화는 기본적으로 중상주의적 성격을 지닌 교류의 문화이며 문화의 성격도 바다와 육지를 잇는 길 즉 통상에서 가치를 추구하는 면이 강하다. 그러나 해금(海禁)을 통한 고립을 고수하는 조선시대의 탐라문화는 이전에 존재했던 탐라의 문화와는 근본적으로 성격이 다르다. 조선의 시대이념은 신분차별에 바탕을 둔 주자학이다. 조선시대 관리나 죄인의 신분으로 탐라(제주)에 왔던 성리학자들이 남긴 보고나 문집 속에는 탐라의 독특한 문화가 소개되어 있다. 그 중 몽골의 유목문화와 관계되는 대표적인 사례는 코빌라이카간과 말[馬], 다리, 갓 등이다.

영문 초록

Historically, Tamra (Jeju island) is the place overlaid with original culture of the island, nomad culture of the Great Mongol empire (Yeke Monggol Ulus), and Neo―Confucianism of Chosen dynasty. Original culture of the Tamra island and nomad culture of the Great Mongol empire (Yeke Monggol Ulus) were fundamentally devoted to the cultural exchanges through sea routes in a mercantilist manner. Thus two culture`s characteristics have strong tendency to the pursuit of value for commercial trade between the continent and the sea. In Chosen dynasty, however, which clarified adherence to the isolation from foreign powers through prohibiting voyage by national law, culture of the Tamra island showed quit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at in previous era. During Chosen Dynasty, Neo-Confucianism was regarded as a political ideology based on rigid social discrimination of classes. The official reports written by government officials and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penal offenders who lived in Tamra introduced a unique culture of Tamra island for the period of Chosen dynasty. Among many cases showing Tamra`s cultural connections with Mongolian` nomad culture, classic examples are remains related to Khubilai Khagan, Mongol horses, Dari (traditional women`s underwear in Jeju), and Gat (traditional headgear in Jeju), etc.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원길(Park Won-kil). (2017).조선시대 유학자들이 본 제주의 유목문화. 제주도연구, 48 , 73-136

MLA

박원길(Park Won-kil).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본 제주의 유목문화." 제주도연구, 48.(2017): 73-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