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통치기 제주도(濟州島) 공공보건의료행정의 전개과정

이용수 266

영문명
Jeju Public Health Medical Administration in the Japanese Reign of Korea : Focused on police doctors, public medical practitioner,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박인순(Park In-soon)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48권, 137~17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염병이 근대세계에 끼친 영향은 인구관리를 위해 국가주도 체계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는 점이다. 이것은 전염병에 대항할 강력한 방역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는 강력한 위생경찰체계 성립의 정당성을 강화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은 일제통치기에 통감부가 위생경찰의 기초를 마련한 뒤 조선총독부에서 위생경찰체계는 강화되어 일제 패망까지 수차례 개편하면서 식민통치의 첨병역할을 하였다. 일제통치기의 위생행정은 경무청(~경시청)→경무총감부→경무국으로 개편되며 경찰전일체계를 확립하였고, 일선 경찰서에서는 경찰과 함께 경찰의, 공의, 의생 등이 지방 보건의료행정의 보조기구로서 집행을 담당하였다. 제주도에도 경찰의가 배치되어 경찰에 대한 의료적 지원과 함께 종두여부, 전염병 관리 등의 위생사무를 담당하였다. 서귀포ㆍ성산포ㆍ한림에 배치된 공의들은 개업의로서 정부가 지정하는 책임구역내 위생관리 및 의무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그리고 전국에 무의며(無醫面)이 없도록 하겠다는 조선총독부의 구상에 따라 1920년대부터는 제도권 의료에서 제외되었던 의생들도 공공 보건의료행정에 투입하여 벽지의 의료기간 부족을 메꾸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irrpact of the epidemic on the modem world was that it recognized the need for a state-led system for population management. This raised the need for a strong anti-infectious system against the epidemic, which strengthened the legitimacy of establishing a strong sanitary police system. The sanitary police system in colonial Korea has been introduced by Japa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of sanitary police in the Residency-General, the system of sanitary police was strengthened in Chosun Government―General. In the colonical Korea administration of hygiene belonged police bureau and monopolized the health medical policy and execution. In the front line police, along with the police, the police doctors, the public medical practitioner, the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 were responsible for the enforcement of the law as a subsidiary body of the local health medical administration. In the Jeju police station, police doctor was stationed between 1909 and 1910 to provide medical assistance to the police, as well as sanitation affairs such as the presence of a pandemic. After 1914, public medical practitioner were placed in Seogwipo, Seongsanpo and Hanlim. They, as practitioners, were responsible for sanitation management and duties in the responsible area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Since the 1920s, the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which were excluded from institutional medicine, were put into public health medical administration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proper medical facilit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인순(Park In-soon). (2017).일제통치기 제주도(濟州島) 공공보건의료행정의 전개과정. 제주도연구, 48 , 137-176

MLA

박인순(Park In-soon). "일제통치기 제주도(濟州島) 공공보건의료행정의 전개과정." 제주도연구, 48.(2017): 137-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