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비교 지역 관점을 위한 문화경관 이해의 유용성

이용수 35

영문명
The Usefulness of Understanding Cultural Landscapes through Gross-area Comparis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 Comparison between Jeju stone wall Landscape and European bocage Landscape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강성기(Seong Gi Kang)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4권, 1~49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역을 잘 이해한다는 것은 지역에 대한 많은 사실들을 모두 열거할 수 있다고 해서 잘 이해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 보다는 대상 지역의 지역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들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하지만 현행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재를 살펴보면 내용이 연관되지 않고 끊어지며, 어떤 원리에 의한 것보다는 단순한 사실 나열에 치우친 경향이 많다. 지역의 지역성을 잘 드러나는 것 중 하나가 문화경관이다. 문화경관은 자연과 인간이 만나서 만들어낸 가시적·정신적 상호관계를 나타내면, 자연 속에서 인간이 생존해 온 자취를 가장 잘 보여주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학습할 가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가 생활하고 있는 공간인 제주 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제주 의 대표적인 문화경관인 돌담 경관 을 선정하였고, 비교 대상으로써 이와 비슷한 모습을 지닌 유럽 보카쥬 경관 을 통해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교재화 하였다. 교재의 학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제 수업에 적용 후 학습자와 참관 교사의 질문지를 분석하여 파악했다. 본 연구는 단순한 사실을 나열해 놓은 현행 지역화 교육 내용을 학습자들에게 의미 있게 학습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지역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들의 관계들을 비교 지역 관점을 제시하고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재에서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그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Understanding an area is knowing the concepts of elements characterizing the area correctly and examining how the concepts are interconnected with one another. In today s localize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owever, contents are disconnected and most of them are merely listing facts without organization based on a certain principle. One of factors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area is its cultural landscape. Cultural landscape represents visible and spiritual interac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and displays the traces of human life clearly, so it is worthy of learning. Thus, in order to help learners understanding of Jeju , the present researcher s space of life, this study selected stone wall landscape , a representative cultural landscape of Jeju , and extracted elements of learning and produced a teaching material through comparing it with similar European bocage landscape . In order to test the learning effect of the teaching material, we applied it in an actual class and surveyed the learners and participant teachers after the clas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cross area comparison as a method for teaching the contents of localized education, which simply enumerated facts, and to discuss its utilization in localized textboo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by doing so, to show the importance of cross area comparis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성기(Seong Gi Kang). (2010).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비교 지역 관점을 위한 문화경관 이해의 유용성. 제주도연구, 34 , 1-49

MLA

강성기(Seong Gi Kang).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비교 지역 관점을 위한 문화경관 이해의 유용성." 제주도연구, 34.(2010): 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