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의 장소마케팅 유형 연구

이용수 169

영문명
Types of Local Governments Place Marketing Strategy: a Cas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오승남(Seung Nam Oh) 권상철(Sang Cheol Kwon)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4권, 157~18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방자치는 경제적으로 지역간의 경쟁을 심화시키며, 자치단체들은 자신의 지역에 더 많은 신규기업을 유치하고 방문객을 끌어들여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역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긍정적인 지역 이미지를 강조하는 장소마케팅이 도입되었다. 우리나라의 장소마케팅은 지역 이미지의 재창출이나 경제적 파급효과의 달성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효과적인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장소의 단편적인 요소 파악에 그쳐 전략적인 장소 마케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소마케팅 유형은 크게 차별화 전략과 장소자산의 활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차별화 전략에는 CI 구축과 매체를 통한 홍보, 지역브랜드 개발, 홈페이지 구축 및 개선이 해당한다. 제주도 CI는 지역산업의 특성화와 관광산업의 육성 및 지역 특산물의 개발 등에 용이하도록 친근하게 표현되었으며, 청정제주, 평화의 섬 등 제주의 비전과 특성을 동시에 형상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상품화 캐릭터를 통하여 관광 상품이 개발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관광안내도나 안내책자, 포스터 등을 통하여 지역을 홍보하고 있다. 지역 활성화의 성과를 위하여 지역 브랜드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그러한 면에서 제주마씸, 해올렛 등 제주 지역 브랜드의 개발은 파급효과를 기대할 만하다. 관광산업의 비중이 높은 제주도에서는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략으로 주기적으로 관광객의 기호성향의 변화를 파악하여 홈페이지를 개선하거나 재구축하고 있다. 특히, 외래 관광객 유치를 위하여 다국어 서비스를 하는 점과 제주몰 등 지역특산물 판매 쇼핑몰과 연계하고 있는 점은 타 자치단체와 차별화된 전략이다. 장소자산의 활용에는 지역축제의 개최, 영화 또는 드라마 촬영지의 활용, 세계 자연유산 등재를 들 수 있다. 제주지역의 우수한 장소자산을 활용한 들불축제 , 유채꽃큰잔치 등은 관광객유치와 지역주민의 통합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그 동안 우수한 자연환경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대외 인지도가 낮아 활용되지 못하던 지역을 영화 또는 드라마 촬영지로 제공하고 이를 관광지화하여 마케팅하고 있다. 세계자연유산 등재는 장소자산의 활용으로는 가장 큰 성과를 기대할만한다. 해외의 사례를 볼 때 세계자연유산 등재는 외래 관광객 유치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beginning of locally independent self-government has intensified inter-regional economic competition, and each local government has tried to attract more enterprises and visitors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Place marketing comes into play in these changes, highlighting local uniqueness with positive images. Place marketing in Korea has been effective to bring economic revitalization, but the strategies have been short sighted rather than being a comprehensive strategy. The place marketing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2: differential strategy and utilizing place assets. In differential strategy, there are CI making and advertizing via mass media, establishing local brands and internet homepage. Jeju Cl emphasizes friendliness to promote local industrial specialization. tourism 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also reflects Jeju vision in terms of Clean Jeju , Peace Island . Others are local characters and brands such as Jeju Massim and Haeallet . In particular, Jeju internet homepage provides multi-lingual contents and links with Jeju Mall selling local specialized products. In utilizing place assets, there are local festivals such as Jeongwol Daeboreum Fire Festival and Rape Flowers Festival , movie or TV drama shooting location, and the listing in the World Natural Heritage. The local festivals bring tourists from outside as well as community sense to locals. Being listed in the World Natural Heritage would bring strong positive images about Jeju and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Jeju.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승남(Seung Nam Oh),권상철(Sang Cheol Kwon). (2010).지방자치단체의 장소마케팅 유형 연구. 제주도연구, 34 , 157-189

MLA

오승남(Seung Nam Oh),권상철(Sang Cheol Kwon). "지방자치단체의 장소마케팅 유형 연구." 제주도연구, 34.(2010): 157-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