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지역의 4월혁명과 지역사회의 변화

이용수 65

영문명
April revolution of Cheju area and change of Local community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박찬식(Chan Sik Park)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4권, 121~15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 지역의 4월 혁명은 1947년 3·1 집회. 1948년 4·3 항쟁 당시 5·10 단독 선거 거부 이후 사라진 대중적 집회 및 시위의 부활이었다. 반공 이데올로기에 짓눌려 있던 제주지역의 시민들은 4월 혁명을 거치면서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기본저항권을 인식하게 되는 소중한 경험을 하였다. 4월 혁명을 통해 최초로 거리로 진출해 대규모 시위를 전개한 것은 제주 지역민들에게 커다란 정치사회적 영향을 미쳤고, 민주주의를 생생하게 체험하게 하였다. 제주지역의 4월 시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늦었던 이유는 지리적 격리, 정보의 부재라는 외적 변수 외에 4,3으로 인한 국가공권력에 대한 위축감, 반공 이데올로기, 레드콤플렉스 등 지역사회 내부의 보수적인 분위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제주지역 사회의 공동체성 때문에 보안 유지가 힘들고, 아는 사람들에 의해 회유를 받아서 봉기에 적극 나서지 못하는 점도 지적된다. 제주 지역의 4월 혁명은 학생운동으로 시작하여 시민운동으로 확대되었고. 지역사회를 변혁시켜 놓았다. 제주대학 학생들이 주도하고, 중학교·고등학교 학생들이 참여하고, 시민계층으로 확산되었다. 이들 혁명의 주체세력은 봉기 및 시위에 그치지 않고 4월 혁명 완수 사업 을 수행하였으며, 지역 사회의 정치사회적 지형을 변화시켰고, 전국적인 통일운동에도 적극 가담하였다. 학원 민주화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과거 역사 해결운동으로서 4·3사건 진상 규명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4·3사건으로 인한 레드콤플렉스를 뚫고 7·29 총선거에서 혁신운동 계열의 국회의원을 당선시키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April revolution of Cheju area was rebirth of popular assembly and demonstration which disappear since 3·1 assembly(1947) and 4·3 Uprising(1948). Citizens of Cheju area that is weighed down in anti-Communist ideology did important experience that recognize basis right of resistance of liberalism and democracy flowing April revolution. When April revolution was spread, the Cheju area peoples waged large scale demonstration streaming on street by first, this exercised great political and social influence on the Cheju area peoples, and they experienced democracy vividly. Reason that April demonstration of Cheju area was later than other area is due to geographical isolation, absence of information, nightmare about country government power, anti-Communist ideology, and Red Complex since 4·3 Incident. April revolution of Cheju area was expanded to citizen s campaign beginning from student movement, and did so that change community. Cheju university students led, and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participated, and was spread as citizen class. These main group of revolution achieved duty for completion of April revolution , and changed political and social topography of community, and joined actively to national unity exercise. They waged campaign for academy democratization, and attempted exercise to clear truth of the 4·3 Incident as movement that solve history pas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식(Chan Sik Park). (2010).제주지역의 4월혁명과 지역사회의 변화. 제주도연구, 34 , 121-156

MLA

박찬식(Chan Sik Park). "제주지역의 4월혁명과 지역사회의 변화." 제주도연구, 34.(2010): 121-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