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말 일제강점기 세종지역의 국권회복운동과 사회운동

이용수 106

영문명
The Operation and Significance of Modern Postal System in Gabo-Gwangmu Reform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李成雨(SHIN Dong-il)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94집, 37~6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종지역은 한말 간재학파가 형성된 곳이다. 艮齋 田愚는 충청도를 중심으로 강학활동을 전개했고, 세종지역에서는 다수의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세종지역 유림들은 의병전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간재학파가 擧兵보다는 講學에 전념했기 때문이다. 세종지역 유림을 모두 간재학파로 볼 수는 없으나 간재학파의 형성은 세종지역에서 의병전쟁이 활발하지 못했던 요인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세종지역 문인들은 한일강제병합 후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세종지역 계몽운동은 사립학교 설립운동이 중심이었다. 세종에서는 기양학교·일어학교·배달학교·대동학교·광동학교·광동측량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세종지역 대표적 사립학교는 배달학교와 대동학교였다. 배달학교는 1904년 연기군 남면에 설립된 기양학교를 계승해 1908년 설립되었으며, 1912년 연기공립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으면서 세종지역 최초의 공립보통학교가 되었다. 대동학교는 1908년 전의에서 설립되었다. 대동학교 설립주체들은 대동학회에 참여하고 있었고, 대동학회 전의군지회를 설립한 이들이었다. 이들은 전의군지회를 설립하는 시점에 대동학교를 설립하고 법률학을 중심으로 교육운동을 벌였다. 세종지역에서는 연기청년회와 금남청년회가 조직되어 청년운동을 전개했다. 두 청년단체는 혁신조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문화운동을 전개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세종지역에서는 조치원노동조합이 결성되었으나 노동조합차원의 활동은 전개되지 않았고 백정제사와 조치원역 화물운송 노동자들이 파업을 단행했다. 그러나 이들의 파업은 세종지역 노동자들의 연대파업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일회성 파업에 머물렀다. 이러한 원인은 세종지역에서 혁신세력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종에서는 사상단체가 조직되지 않았으며 소위 3총(청년·농민·노동총동맹)과 관련된 단체도 조직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postal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roles it played in Korea’s state-led reformation during the Gabo and Gwangmu reforms (1894~1905). The modern Postal System, which was invented in Britain in 1837, was a gignatic work accompanied by high-level central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ve technology that standardized postal networks across the whole country. Through this, the Korean government not only centralized the existing lands and relevant finances which belonged to traditional relay station, but also standardized local administration to construct a modern state centered on the emperor. Based on this, joining the Universal Postal Union provided an international legitimacy for Korea to show off its administrative sovereignty and compete with Japanese post offices in its own country. Securing sovereignty in the postal area was also a guarantee of the development of the vernacular press.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and material support for newspapers not only enabled Korean press to compete with Japanese newspapers to produce their own knowledge about Korean, but also formed readers and listeners all over the country, creating a foundation for them to connect with the state. Even after Korea lost her telecommunications sovereignty in 1905, these experiences made it easier for Koreans to accept the newly produced National history that broke away from relations with China. The modern postal system of the Gabo and Gwangmu reform periods was already transforming Korea into a modern nation-state.

목차

1. 머리말
2. 세종지역의 국권회복운동
3. 세종지역의 청년·노동운동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成雨(SHIN Dong-il). (2020).한말 일제강점기 세종지역의 국권회복운동과 사회운동. 한국근현대사연구, 94 , 37-67

MLA

李成雨(SHIN Dong-il). "한말 일제강점기 세종지역의 국권회복운동과 사회운동." 한국근현대사연구, 94.(2020): 3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