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淸朝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수업 활용을 위한 사료 소개

이용수 96

영문명
New Approach to the Qing History and Introduction of Historical Material for Classroom Use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이선애(Lee Sun Ae)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38호, 53~104쪽, 전체 5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9,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脫중심주의적 역사관을 위한 역사교육이 요구되면서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에도 이에 발맞춘 다양한 시도와 노력이 반영되었다. 그러나 중국 중심적이고 한족 중심적인 관점이 교과서 구성과 내용에 남아있고 학계의 새로운 연구 경향이 반영되지 못한 부분도 있다. 明과 淸을 중국의 왕조로서 연속적으로 바라보고 명-청 교체를 중국 왕조의 변화로 일괄하는 <동아시아사>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과서 서술방식은 중국 혹은 한족 중심의 역사 인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고에서는 脫중심주의적 역사인식을 <동아시아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청의 역사를 새롭게 바라보는 관점을 소개하고 청과 조선의 사료들을 검토했다. 新淸史는 한족 중심의 漢化論을 반박하고 만주족의 청 제국을 재조명하는 연구 경향이다. 신청사적 관점은 청의 역사를 ‘중국’이라는 영역에 한정시키지 않고 만주족의 기원과 특징적 제도, 내륙아시아와의 밀접한 관계에 주목한다. 본고에서는 신청사적 관점을 통해 청에 대한 역사 인식을 전환하고 이를 脫중심주의적 역사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본고에서는 우선 청대 관찬 사료의 편찬과 수정 과정을 검토해 만주족 청 제국이 고민했던 시대적 문제를 진단했다. 그리고 청의 초기 역사를 규명하는 데 사료적 가치가 높은 조선의 문헌을 통해 만주 정권의 발전 과정을 명-건주여진-조선이 얽혀있던 다각적인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명-청의 연속성에 주목했던 기존의 역사 인식을 건주여진-후금-청의 연속성으로 전환하는 작업이며, 명과 조선 사이에 낀 주변적 존재였던 건주여진의 성장이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미친 영향을 되새겨보는 작업이기도 하다. 중국·한족 중심적 역사관에서 벗어나 청의 역사를 재조명한다면 동아시아를 내륙아시아와 연결시켜 역사 인식의 공간적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그리고 만주 정권의 초기 역사는 주변으로부터 본 새로운 동아시아 역사상을 제시할 수 있다. 청조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동아시아사> 교육이 ‘중심주의적’ 문제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하나의 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s the demand for the historical education with decentering historical view is growing, various efforts and attempts are being made in the field of East Asian History education to meet such demand. Yet,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extbooks still contain Sino-centric perspective, or the view that center mainly on Han people, and do not reflect the latest research trend of the academic circles.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the curriculum of East Asian History or the textbook description of Chinese history that views Ming and Qing as a continuation of Chinese dynasties and lumps together the transition from Ming to Qing as part of the dynastic change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istorical perception that centers on Han people or supports Siniciz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Qing history differently and examines the historical materials from Qing and Joseon as a method of using the decentering historical view in the East Asian History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New Qing History is a research trend that refutes the Sinicization and sheds new light on Qing as the empire of the Manchus. This perspective does not limit Qing history to the scope of ‘China,’ but focuses on the origin and unique institutions of Qing, and their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nner Asia to capture the diverse aspects of Qing history. This paper introduces the perspective of New Qing History and takes note of the fact that Qing is an empire of the Manchus, which sets it apart from Ming.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compilation and revision process of the official historical records of Qing, something that is not covered in current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In doing so, this paper moves away from the Sino-centric perspective that views Ming and Qing as a continuation, and examines the contemporary questions, with which the Qing empire of the Munchus struggled. By referring to the materials from Joseon dynasty that have high historical value in investigating the early Qing history, the development of the Manchu regimes, which carried on from Jianzhou Jurchens to the Later Jin, and then down to Qing, is examined within the complex multilateral relationships that existed among Ming, Jianzhou Jurchens, and Joseon in the late sixteenth through early seventeenth century. This perspective is a shift from the existing historical perspective that focuses on the continuation of Ming and Qing to that of Jianzhou Jurchens, Later Jin, and Qing. It also ruminates on how the rise of Jianzhou Jurchens impacted the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which had only been viewed as having a marginal existence, while caught between Ming and Joseon. By veering away from the Sino-centric historical view and shedding new light on Qing history, our historical perception could expand spatially as we connect East Asia to the Inner Asia. Also, the early history of Manchu regimes can present a new historical point-of-view of East Asia that was seen not merely from the center, but from the periphery. This new approach to the Qing history could be one of the many ways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centering perspective that the current East Asian History education has.

목차

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淸 관련 서술 검토
Ⅲ. 淸朝에 대한 새로운 시각: ‘新淸史’적 관점과 滿文史料
Ⅳ. 淸과 朝鮮의 기록을 통해 본 만주족의 청 제국과 동아시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애(Lee Sun Ae). (2020).淸朝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수업 활용을 위한 사료 소개. 역사교육연구, (38), 53-104

MLA

이선애(Lee Sun Ae). "淸朝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수업 활용을 위한 사료 소개." 역사교육연구, .38(2020): 53-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