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미역 명사 유형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조사 산출 능력

이용수 132

영문명
Case Marker Assignment Abilities as a Function of the Noun Types of Thematic Roles in Aphasi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박지민(Jimin Park)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3, 624~639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의미역 명사 유형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조사 산출 능력과 실어증 환자의 조사 오류 유형 및 반응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실어증 중증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의미역 명사 유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실어증 환자 18명, 정상 성인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는 글자로 제시된 2개의 의미역 명사와 1개의 서술어를 보고 적절한 조사를 산출하였다. 결과: 첫째, 실어증 환자는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률을 보였으며, 장소 및 대상 의미역 명사에 비해 도구에서 특히 낮았다. 둘째, 실어증 환자의 오류 유형은 주로 대치였으며, 굴절어의 오류 특징과 일치하였다. 도구와 장소 의미역 명사에서의 조사는 목적격으로, 대상에서는 처소격으로 가장 많이 대치되었다. 셋째, 장소 의미역 명사가 실어증 중증도를 48.2%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실어증 환자는 통사적 및 의미적으로 논항 관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보여 정상 성인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빈도 효과에 따른 어휘 인출 능력과 실어증 환자들의 보존된 공간 인식 능력으로 인해 장소 의미역이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가 간편하고 실어증 중증도를 변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시사점을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bility in case marker (CM) assignment according to noun types of thematic roles in people with aphasia (PWA). CM errors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noun types and the severity of aphasia was examined. Methods: Eighteen PWA and twenty normal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M assignment task was conducted by presenting participants with two different noun types of thematic roles and one verb,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roduce the appropriate CM for each noun. Responses were calculated by accuracy (%) and the error type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PWA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rmal adults, especially in instrument nouns of thematic roles when compared with location and theme. Second, PWA showed four times more substitution errors than omission errors, which is a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in inflectional languages. Instrumental and locative CMs were mostly substituted with accusative CMs, and accusative CMs were mostly substituted with locative CM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for aphasia severity were the location nouns of thematic role, at approximately 48.2%. Conclusion: PWA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compared to normal adults, indicating that PWA have difficulties in comprehending syntactic and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arguments. Since lexical retrieval is highly related to the frequency effect and PWA have highly preserved spatial cognition, syntactic processing abilities were mostly affected in comprehending location thematic roles. Thus, the location was highly correlated to aphasia severity. Moreover, CM assignment may be clinically useful because it is simple to conduct and can be used for deep testing.

목차

연구방법
연구과제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민(Jimin Park),성지은(Jee Eun Sung). (2020).의미역 명사 유형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조사 산출 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3), 624-639

MLA

박지민(Jimin Park),성지은(Jee Eun Sung). "의미역 명사 유형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조사 산출 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3(2020): 624-6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