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휘전환과제 수행에 의미점화가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6

영문명
Semantic Priming Effects on the Lexical Switching Task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오다희(Da-Hee Oh) 하지완(Ji-Wan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3, 684~695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소리장애 및 언어장애 동반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예상되는 의미점화 효과의 양상을 비교하여 비인접단계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4-5세의 순수말소리장애(pure SSD) 아동 15명과 언어장애를 동반한 말소리장애(pure SSD+LD) 아동 10명, 일반(TD)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어휘전환과제를 실시하였다. 어휘전환과제는 빠르게 전환되는 두 개의 그림을 명명하는 과제로, 의미관련 여부에 따라 의미관련 조건과 의미비관련 조건으로 구분되었다. 이때의 수행력은 반응에 대한 속도와 정확도로 측정하였으며, 오반응에 대한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반응속도는 의미관련조건에 한해 pure SSD 집단과 TD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반응정확도는 pure SSD 집단과 TD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SSD+LD 집단의 경우 집단 내 의미관련 여부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pure SSD 집단과 SSD+LD 집단 간 오류유형을 비교한 결과, pure SSD 집단은 비관련오류가, SSD+LD 집단은 형태오류가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 논의 및 결론: 각 단계의 양방향 간 상호작용이 정적점화 효과의 감쇠를 초래함을 증명하였고, 이는 특정 영역에 결함이 있는 의사소통장애에 관한 연구가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서 실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directions between long distance stages by comparing the semantic priming effect o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5 typically developing peers (TD group), 15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pure SSD group) and 10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with language disorder (SSD+LD group) from 3 to 5 years of age. The lexical switching task consisted of naming two pictures. A context picture (priming stimulus) was sometimes replaced with a target picture (target stimulus); the picture names were related or unrelated in meaning. The authors measured response time, response accuracy, and error type rates. Results: The response ti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ure SSD group and the TD group in semantic conditions. However, response accur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ure SSD group and the TD group. The response accuracy of the SSD+LD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mantic and non-semantic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error analysis, the SSD+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formal’ errors than the pure SSD group, whereas the pure S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unrelated’ errors than the SSD+LD grou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i-directional interaction of each stage decayed semantic priming effect.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ies on communication disorders should be conducted comprehensively in a broad range of areas, not in specific area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다희(Da-Hee Oh),하지완(Ji-Wan Ha). (2020).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휘전환과제 수행에 의미점화가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3), 684-695

MLA

오다희(Da-Hee Oh),하지완(Ji-Wan Ha).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어휘전환과제 수행에 의미점화가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3(2020): 684-6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