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성장애의 성대접촉 양상에 따른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 비교

이용수 243

영문명
Comparison of Acoustic and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in Sustained Vowel and Connected Speech by Glottal Closure Pattern in Voice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은정(Eun-Jung Lee) 김재옥(Jaeock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3, 738~749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음성장애를 발성 시 성대접촉 양상과 후두 긴장 여부에 따라 과다기능성 음성장애(Hyper) 집단과 과소기능성 음성장애(Hypo) 집단으로 분류한 후, 두 집단의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 차이를 비교하였다. 방법: Hyper 집단 46명과 Hypo 집단 46명이 포함되었다. 모음연장발성 /a/와 연속발화(“가을” 문단 읽기)를 통해 음성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음향학적 평가를 위해 캡스트럼 분석(CPP, mean CPP F0, L/H ratio)과 청지각적 평가를 위해 GRBAS 척도로 분석되었다. 결과: 음향학적 평가에서는 CPP가 연속발화보다 모음연장발성에서 높았으며, mean CPP F0는 연속발화에서 더 높았다. 또한 Hyper 집단에서 CPP가 높은 반면, mean CPP F0는 Hypo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청지각적 평가에서 두 집단은 B척도와 A척도로 구분되었으나, R과 S척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모두 GRBAS 척도는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에서 CPP와 L/H ratio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를 함께 적용하여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음성평가를 실시할 때 성대접촉 양상에 따른 음성장애 유형을 파악하고 성대폐쇄부전의 과다기능적 보상전략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voice disorders into hyper-functional (Hyper) and hypo-functional voice disorder (Hypo) by glottal closure pattern and compared acoustic and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in sustained vowel and connected speech.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6 patients in the Hyper group and 46 patients in the Hypo group.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stained vowel /a/ and connected speech (reading the “Autumn” paragraph) and were analyzed with cepstral analysis (CPP, mean CPP F0, and L/H ratio) for acoustic evaluation, and GRBAS scales for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Results: In the acoustic evaluation, CPP was higher in the sustained vowel than in connected speech, however the mean CPP F0 was the opposite. CPP was higher in the Hyper group than the Hypo group and the mean CPP F0 was higher in the Hypo group. In the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the two groups were distinguishable on the B and A scale, but were not different on the R and S scale. In addition, in both groups, the GRBAS scal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CPP and L/H ratio in both sustained vowel and connected speech.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voice disorders through acoustic and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using a combination of sustained vowel and connected speech. These evaluation methods are helpful to discriminate compensatory strategies for glottal incompetency in hypofunctional voice disorder.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정(Eun-Jung Lee),김재옥(Jaeock Kim). (2020).음성장애의 성대접촉 양상에 따른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3), 738-749

MLA

이은정(Eun-Jung Lee),김재옥(Jaeock Kim). "음성장애의 성대접촉 양상에 따른 모음연장발성과 연속발화의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평가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3(2020): 738-7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