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성 난독증 진단

이용수 501

영문명
Identifying Developmental Dyslexia in 9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Risk for Dyslexi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은주(Eun Ju Lee) 김영태(Young Tae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3, 546~580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난독증 진단모델과 동반장애 특성, 그리고 다양한 읽기관련 변인 측정 결과가 어떻게 연관되어 난독증 진단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난독증 의심증상을 보이는 초등학생 9명 대상자를 기존의 진단모델을 통해 진단한 결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단모델을 통한 진단결과와 난독증 대상자의 동반장애와의 연관성을 상응분석 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응분석 결과 난독증 집단에 대해 읽기관련 변인 프로파일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 세가지 진단모델에서 난독증을 진단하는 기준은 차이를 보이며 이에 따라 난독증 의심 대상자 9명은 난독증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였다. 연구문제 2의 상응분석결과 DLD와 ADHD, SSD, TOT 동반 장애 및 증상에 따라 난독증 진단 집단 분류가 가능하였다. 그리고 연구문제 3 분석결과 난독증 진단 핵심검사로 분류되어 있는 해독, 읽기이해, 읽기 유창성, 듣기이해는 동반장애 또는 읽기능력에 따라 난독증을 분류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에 의해 구분된 난독 핵심검사 결과는 읽기능력 세부검사(음운인식, 음운기억, 음운처리능력, 쓰기)와는 관련이 없었다. 논의 및 결론: 이번 연구는 언어재활사의 입장에서 언어발달 측면을 고려하여 난독증을 진단하여 보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언어발달 접근법에서 난독증 진단모델과 평가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profile study is to discuss the diagnosis model of dyslexia, the characteristics of comorbidity, and how the results of various reading-related measurements can be linked to interpret the diagnosis. Methods: Ni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uspected dyslexia (N=9) were diagnosed through existing diagnostic model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del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dyslexic diagnosis, along with comorbidities were analyzed using corresponding analysis. Finally, profile analyses of the reading-related variables were conducted for the dyslexic group classified through the corresponding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first section of this analysis, the criteria for diagnosing dyslexia differed in the three diagnostic models, so the nine suspected dyslexics were classif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agnostic model. As a result of the second portion of this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dyslexic group according to comorbidities such as DLD, ADHD, SSD, TOT. And the result of the third section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decoding,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fluenc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which are classified as key tests for diagnosing dyslexia, affected the classification of dyslexia according to comorbidity or reading ability. However, the key results differentiated by this classification were not relevant to the reading ability test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writing). Conclusion: In this study, diagnosis models and evaluation plans for dyslexia were presented in a language development approach in consideration of the aspect of languag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peech-language therapy.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Eun Ju Lee),김영태(Young Tae Kim). (2020).발달성 난독증 진단.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3), 546-580

MLA

이은주(Eun Ju Lee),김영태(Young Tae Kim). "발달성 난독증 진단."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3(2020): 546-5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