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國 中原ㆍ東北地方 甲冑로 본 嶺南地方 甲冑文化의 전개과정과 특징

이용수 153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rmor in the Yeongnam Area and the Influence of China’s Central Plains and Northeastern Province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金赫中(Kim, Hyuk-Joo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72호, 50~83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5.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중원지방은 어린갑(小札革結), 소찰주를 제작하였고 동북지방은 찰갑(小札垂結), 종장판주, 마갑ㆍ마주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양 지역은 갑옷 제작에 소찰혁결기법과 소찰수결기법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상호 교류에 의해 융합되는 기술적인 부분이다. 영남지방의 갑주문화도 일찍이 중국 중원 및 동북지방의 갑주 제작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발전하였다. 가평 대성리와 인천 운북동 유적에서 확인된 소찰은 한반도가 늦어도 3세기에 철제갑주를 수용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남지방도 이러한 영향으로 4세기 초에는 철제갑옷을 본격적으로 제작하였다. 영남지방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형태의 찰갑 및 종장판갑과 종장판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초기 찰갑은 연결기법과 개폐방식에 있어서 중국 중원과 동북지방의 기술을 융합하였다. 이후 4세기 후반에는 동북지방의 삼연이나 고구려와 유사한 갑옷이 제작된다. 그간 영남지방에서는 이러한 갑주문화의 큰 변화를 5세기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그 변화의 원인을 400년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남정이라는 역사적 사건에서 찾은 것이다. 그러나 본고의 검토에 의하면 4세기의 변화로 5세기에 좀 더 기술이 진화되어 영남지방 고유의 갑주가 자리 잡은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중원 및 동북지방에서 찾을 수 없는 ‘Ω’형의 요찰과 수결을 위한 2열 투공 배치가 있는 찰갑 그리고 마주ㆍ마갑의 다양한 조합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고구려 남정 이전에 영남지방은 갑주제작에 중국 중원 및동북지방과 기술 교류나 영향이 있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다만 고구려 남정 이후 영남지방에서 좀 더 다양하게 제작된갑주는 기술 성장에 따른 독자성이 발휘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Manufacturers of armor in the Chinese Central Plains produced lamellar armor and helmets while those in its Northeastern Provinces made scale armor, helmets made by vertically lacing iron strips, and armor for horses. Artisans in both regions used the same techniques, including suspensory binding and leather binding, suggesting that there was activ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regions. The armor-making techniques developed in these Chinese regions were imported to the Yeongnam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phase of its history. The armor scales discovered at the archaeological sites in Daeseong-ri, Gapyeong, and Unbuk-dong, Incheon suggest that suits of armor arrived in Korea in the third century at the latest. Similarly, various forms of scale armor discovered in the Yeongnam area, including that made by lacing iron strips vertically, show that local artisans began to produce suits of armor in earnest in the early 4thcentury. The early suits of armor made by local artisans in the Yeongnam area reveal that they actively adopted the techniques developed by Chinese artisans in the Central Plains and Northeastern Provinces. In the late 4thcentury, similar types of armor were made in the three Yan Dynasties in the Chinese northeastern region and in the northern Korean kingdom of Goguryeo. A widely accepted view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rmor in the Yeongnam area is that a significant change occurred threre during the 5thcentury, probably caused by the Southern Expedition of King Gwanggaeto(374-412) of Goguryeo. According to this study, however, the historic change brought to the area in the 4thcentury led in the following century to the development of more advanced techniques and the emergence of unique characteristic features of suits of armor made in the Yeongnam area, such as Omega-shaped waist armor, scales with two rows of holes punched into them for suspensory binding, and the combination of a variety of techniques for the production of metal armor for warhorse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re had been active exchanges of techniques between the Yeongnam area and two Chinese regions even before King Gwanggaeto’s Southern Expedition, and that the technical developments archiev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King Gwanggaeto’s expedition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iversity and uniquenesso f the armor made in the area.

목차

Ⅰ. 머리말
Ⅱ. 中國 中原ㆍ東北地方과 嶺南地方 출토甲冑의 비교 검토
Ⅲ. 嶺南地方 甲冑文化의 전개과정과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赫中(Kim, Hyuk-Joong). (2015).中國 中原ㆍ東北地方 甲冑로 본 嶺南地方 甲冑文化의 전개과정과 특징. 영남고고학, (72), 50-83

MLA

金赫中(Kim, Hyuk-Joong). "中國 中原ㆍ東北地方 甲冑로 본 嶺南地方 甲冑文化의 전개과정과 특징." 영남고고학, .72(2015): 50-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