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문토기문화의 설정과 경계

이용수 139

영문명
Establishment and Boundary of Mumun Culture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배진성(Bae, Jinsu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72호, 4~23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5.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고학문화는 특정 고고자료의 조합이 특정의 분포범위를 이루는데 근거한 개념이다. 한국고고학에서도 고고학문화의개념은 이전부터 인지되어 왔지만, 어떤 개념 정립 없이 습관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았으며 무문토기문화라는 용어 역시 마찬가지였다. 동북아시아 속에서 한반도라는 범위의 지역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문토기문화의 공간적 범위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한반도 청동기시대 표지적 자료들의 분포 범위부터 상세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공렬문토기 중에서도 심발이 주체를 이루는 곳은 압록강 상류역도 포함되지만 주로 청천강유역과 함경북도 남부지역을 북한계로 한다. 동북아시아의 마제석검은 청천강유역 이남지역에 밀집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단병식석검은 청천강 이남지역에서만 출토된다.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분포에서도 청천강유역을 경계로 하여 그 이남과 이북에서 분포의 밀도 차이가 크다. 또 석검ㆍ석촉ㆍ옥제장신구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부장습속도 청천강 이남지역에서 확인된다. 결국 청천강유역은 동북아시아의 청동기시대에서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를 구분하는 큰 경계가 되는 곳이므로, 그 이남지역을 ‘무문토기문화’라는 하나의 큰 집합의 고고학문화로 바라볼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 자료인 무문토기를 붙인 무문토기문화는 청천강 이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체를 포괄하는 의미의 고고학문화이며, 미사리문화ㆍ송국리문화 등은 무문토기문화내의 특정 시기 혹은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설정된 고고학문화이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called that archaeological culture is based on assemblage and distribution of specific archaeological materials. Although archaeological culture has been recognized in Korea, it was habitually used without any concept definition. Mumun Culture was the same, too. In order to study the loc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in North-East Asia, we need to examine the spatial range of Mumun Culture. For this purpose the distribution range of cover materials of the BronzeA ge in Korean Peninsula must be identified in detail. Perforated rim pottery is mainly distributed Chongchon River basin and south Hamgyong Province. Polished stone dagger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area south of Chongchon River basin. Also the distribution of dolmen,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the south and north of the Chongchon River basin. When comparing the Northeast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Chongchon River basin is big boundary. Therefore, we can set up Mumun Culture about the Chongchon River area south. This Mumun Culture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the archaeological culture, and means the Bronze Age of the Korean Peninsula.

목차

Ⅰ. 머리말
Ⅱ. 考古學文化의 개념과 적용
Ⅲ. 한국고고학에서의 用例와 무문토기문화
Ⅳ. 표지적 자료의 특징과 분포
Ⅴ. 무문토기문화와 청천강유역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진성(Bae, Jinsung). (2015).무문토기문화의 설정과 경계. 영남고고학, (72), 4-23

MLA

배진성(Bae, Jinsung). "무문토기문화의 설정과 경계." 영남고고학, .72(2015): 4-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