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지역으로의 비파형동검문화 확산경로와 시기별 변천

이용수 295

영문명
A study of the diffusion routes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to the Youngnam Region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권구(Kim Gwongu)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72호, 24~49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5.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영남지역 출토 비파형동검문화의 확산경로 또는 유입경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남지역에서 출토되거나 확인된 비파형동검을 정리한 후 부장ㆍ매납 시기를 검토 하여 그 시대별ㆍ지역별 분포양상을 검토하고 호남과 호서지역 출토 비파형동검의 부장ㆍ매납 시기와 지역별 분포양상도 함께 비교되었다. 비파형동검의 부장ㆍ매납 시기 편년은 비파형동검의 형태상의 특성뿐만 아니라 비파형동검과 함께 출토된 유물과 출토유구의 중심유행시기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또 영남지역의 지형적ㆍ지리적 특성과 통시대적인 교통로에 대하여서도 검토되었다. 그 결과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비파형동검문화의 영남지역 확산 또는 유입에 있어서 경북북부지역과 경북서부지역의 소백산맥 고봉준령 사이의 안부(鞍部)를 통과하는 내륙교통로의 역할이 더 큰 비중을 가졌던 것으로 보이며 청동기시대 후기에는 경북지역 내륙교통로보다는 남해안교통로가 비파형동검문화의 영남지역 확산에 있어서 더 큰 비중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영남지역에서 아직 비파형동검용범을 포함한 다른 청동기의 용범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점, 영남지역의 비파형동검보다 이르거나 동시기의 비파형동검이 호서지역에서 출토되는 점, 영남지역에서 출토된 비파형동검 중에서 재가공된 것이 다수 확인되는 점, 여수 적량동 지석묘 출토 비파형동검의 경우와 같이 호남의 남해안연안지역에서 청동기시대 후기의 비파형동검이 다수 확인되는 점을 볼 때 영남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되었다하기 보다는 호서지역이나 호남지역을 통하여 비파형동검이 영남지역으로 확산 또는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비파형동검의 확산 또는 유입은 비파형동검을 필요로 하는 청동기시대 사회발전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trace the diffusion routes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to the Youngnam Region over time for the Korean Bronze Age. To do so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ound in the Youngnam Region have been dated and their discovered locations have been analyzed. In addition the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ound in the Hoseo region and the Honam region have also been dated and their locations also have been compared. The chronology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has been set up on basis of their features and the related objects found together along with them. The topographical and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Youngnam region as well as its interaction routes over time have been reviewed. The analysis has revealed that during the early Bronze Age the inland routes passing through the Sobaek Mountain Range of both the northern Gyeongbuk region and western Gyeongbuk region have been more significant roles than other routes in diffusion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to the Youngnam Region. Instead during the late Bronze Age the Southern Coastal routes have more important roles in diffusion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to the Youngnam Region than the inland routes of the Gyeongbuk region. There are many evidences to support that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might not have been produced in the Youngnam region and they might have been transported into the Youngnam region through the Hoseo region or the Honam region. They are as follows; absence of a moulder for any bronze object including a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some examples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dated earlier than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rom the Youngnam region, many examples of re-touched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rom the Youngnam region, many occurrences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from the Southern Coastal areas. The diffusion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into the Youngnam region must have been related to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Bronze Age which need them socially, politically and ideologically.

목차

Ⅰ. 머리말
Ⅱ. 영남지역과 호남ㆍ호서지역 출토 비파형동검과 편년
Ⅲ. 영남지역의 지형개관과 영남지역출토 비파형동검의 분포양상과 의미
Ⅳ.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권구(Kim Gwongu). (2015).영남지역으로의 비파형동검문화 확산경로와 시기별 변천. 영남고고학, (72), 24-49

MLA

김권구(Kim Gwongu). "영남지역으로의 비파형동검문화 확산경로와 시기별 변천." 영남고고학, .72(2015): 24-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