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 지방 원삼국시대 土器「樣式」論의 제기

이용수 49

영문명
An Argument for a Pottery Style in Yongnam Region during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尹溫植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31호, 30~82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30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영남 지방의 原三國時代 後期 土器의 변천에 대해서는 「공통양식」이라는 큰 틀을 전제로 고찰해 온 경향이 강하다. 이 때문에 토기를 통해 원삼국시대를 복원하려는 고고학적인 시도는 「地域色」에 초점을 두는 소극적인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래서 이 연구는 그간의 연구가 지닌 가장 근본적인 취약점이 원삼국시대 후기 토기의 製作「傳統」을 地域單位로 구분하지 않은 점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그 반대의 관점에서 접근을 시도하였다. 원삼국시대 후기 토기의 제작 전통은 포항-경주-울산-부산 지역 등을 잇는 東海 南部 地域과 김해-함안-고령-대구 지역 등을 잇는 洛東江 流域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낙동강 유역 중에서도 경산과 김해 지역은 위의 두 제작 전통이 복합되어 있다. 위와 같이 뚜렷이 구분되는 토기의 제작 전통을 성립하게 한 요인 중의 하나는 태백산맥과 낙동강이라는 지형적 여건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제작 전통은 그 형태가 各 器種에 어떻게 적용되느냐와 파생되는 기종이 어떠한 계보관계를 이루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차이는 일정한 공간 범위내에서 일시적이 아니라 원삼국시대 후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나므로 東海南部地域樣式과 洛東江流域樣式으로 규정할 수 있다. 토기의 제작 전통은 2세기 중엽 이후 대부광구호와 단경호 등에서 구분되기 시작하여 3세기대가 되면 거의 모든 기종에서 차이가 난다. 두 양식 중 동해남부지역양식은 3세기 후반대에 경주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새롭게 계승되어 慶州樣式이 성립한다. 한편 앞의 두 양식이 복합된 양상을 보이는 김해 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경주양식과 대비되는 金海樣式이 성립한다. 경주양식은 동해남부지역양식을 계승하였지만 김해양식은 낙동강유역양식의 제작 전통에다 동해남부지역양식의 전통을 결합한 것이다.

영문 초록

So far many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the pottery of the later Proto-Three Kingdoms period (原三國時代) in the Youngnam province belongs to the same style. The archaeological dfforts to restor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pottery, hence, have been limited within such a framework which shows passive approaches. Previous studies have exposed a fundamental weakness because they failed to divide the tradition of regional units. The current study has an opposite perspective.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southern region of the East Sea linking to Pohang-Kyungju-Ulsan-Pusan areas and the Nak dong River valley linking to Kimhae-Haman-Koryung-Taegu areas, measuring the spatial change based upon the change of pottery styles in time. Both Taebaek Mountains as a traffic barrier and the Nak dong River as a transportation road were a geographical factor which established the two styles. The tradition of pottery manufacturing is divided both by how morphological attributes are applied to each kind of pottery and what kind of genealogical relations are established among derivative kinds of pottery. We can create th two different styles - i.g., the Southeastern coast pottery style(東海南部地域樣式)and Nak dong River valley pottery style(洛東江流域樣式), for such a difference continued throughout the late Proto Three Kingdom period within a limited area. After the mid-2nd century the tradition of pottery manufacturing began to be divided through Mounted Pottery with Wide-Mouth(대부황구호) and Short-Necked-Pottery (短頸壺), and in the 3rd century almost all kinds of pottery show differences among them in terms of the tradition. In the late 3rd century a new style which succeeded the two styles appeared in many regions. The pottery style of the southern region of the East Sea was newly succeeded in several areas, including Kyungju (the Kyungju style). The pottery style of the Nak dong River valley was newly succeeded in other areas, such as Kimhae and Haman (the Kimhae style and the Haman style), as well. Of these, the Kimhae style absorbed the pottery style of the southern region of the East Sea, grounding on the Nak dong River valley.

목차

Ⅰ. 머리말
Ⅱ. 2세기 중엽∼4세기초 동해 남부지역 토기의 편년
Ⅲ. 토기 樣式의 형성과 변천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尹溫植. (2002).영남 지방 원삼국시대 土器「樣式」論의 제기. 영남고고학, (31), 30-82

MLA

尹溫植. "영남 지방 원삼국시대 土器「樣式」論의 제기." 영남고고학, .31(2002): 30-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