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皇南大塚과 天馬塚의 區劃築造에 대하여

이용수 41

영문명
On Compartmentalized Construction of Hwangnam-daechong and Cheonmachong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曺永鉉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31호, 83~11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大形古墳의 築造는 三國時代의 중요한 土木工事中 하나로서 특히 고분의 축조방식에는 古代의 土木技術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해명은 역사고고학의 중요한 과제가 된다. 皇南大塚과 天馬塚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한 축조방식의 해명은 향후 고분연구의 중요한 근거자료가 되고, 아울러 삼차원의 시각에서 층위를 파악하는 방법은 대규모 토목공사의 성격을 지닌 유적들의 축조방식을 조사, 연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이 고분들의 봉토 하부는 水平式으로, 상부는 內傾式으로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層位와 內容說明을 三次元의 視角에서 검토한 결과 이 고분들이 봉분은 平面 放射狀으로 區劃되었고, 區域別 水平式의 盛土方式으로 築成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구역별 분담작업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는 구획측조는 그 區劃의 表示로서 경계부에 石列이나 봉토의 흙과 구분되는 다른 색깔의 흙을 배치하는데, 어떤 부분에서는 兩者를 모두 갖춘 반면에 어떤 부분에서는 그와 같은 表示物이 없이 좌우 구간의 흙성분만이 다른 점이 확인되었다. 그 밖에도 護石과 積石部의 區劃도 확인되었는데, 區劃別 作業順序는 同時作業된 것만 확인되었고, 逐次作業은 확인할 수 없었다. 구획의 폭은 황남대총 남분에서 황남대총 북분을 거쳐 천마총으로 갈수록 조금씩 넓어진다. 그런 점은 시간이 지날수록 區劃數가 적어진다는 의미이며, 당시의 土城에서 나타나는 양상같은 脈絡으로 볼 수 있다. 이 고분들의 축조에 구획방식이 적용되었다는 점은 이 시기에 축조된 新羅圈의 큰 古憤들은 모두 區劃築造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Large ancient tombs that took much manpower and time to build was one of major civil engineering work during the era of the three Ancient Kingdoms of Korea. Thus, with ancient civil engineering technologies reflected in them, ancient tombs need to be analyzed to interpret their anthropological implications. Hwangnam-daechong Tomb and Cheonmachong Tomb, in light of their size and historic relics, could be representative ancient tombs of the Silla Dynasty. In particular, Hwangnam-daechong Tomb, which is Korea s largest ancient tomb, need to be analyzed for its construction methods to identify it. This effort will provide a good material for research on ancient tombs in Kore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alike. Likewise, in this course, the method to identify the layers will serve as a good information to survey and research the construction methods of all historical relics including ancient tombs with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work reflected. With no concept of compartmentalization work at the time of their excavation, southern and northern mounds of Hwangnam-daechong Tomb, and Cheonmachong Tomb, were understood to have had their bottom in horizontal style constructed and the top lowered and piled. Likewise, a three-dimensional close review into layers revealed that they were compartmentalized in a radial shape. The compartmentalization method implies the work division among workers. For the compartment marking, used was soil with a color different from those of stone arrangements along the compartment borders and mounds, thus distinguishing it from them. Likewise, the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some parts showed both markings, while other parts had no such markings but soil of different components form borders. The work order in each compartmentalized section could be confirmed only in parts with simultaneous work done, but not in parts with one part worked earlier than the other. The compartmentalization intervals widened somewhat from the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to the nor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Tomb to Cheonmachong Tomb. This implies that as time passed, the number of compartmentalization was reduced, and this pattern is the same as shown in castles with walls of earth at that time. From the fact that the compartmentaliza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se ancient tombs, most of at least large ancient tombs during the Silla Dynasty are deemed to have been constructed with the compartmentalization method.

목차

Ⅰ. 머리말
Ⅱ. 皇南大塚 南墳의 區劃築造
Ⅲ. 皇南大塚 北墳의 區劃築造
Ⅳ. 天馬塚의 區劃築造
Ⅴ. 層位에서 나타나는 區劃樣相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曺永鉉. (2002).皇南大塚과 天馬塚의 區劃築造에 대하여. 영남고고학, (31), 83-116

MLA

曺永鉉. "皇南大塚과 天馬塚의 區劃築造에 대하여." 영남고고학, .31(2002): 83-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